“민정당 시절로 되돌아갈 우려 커졌다” 비박계 “권위주의 정부 행태 답습”

입력 2015-07-09 15:17

유승민 전 원내대표의 퇴진으로 당·청 관계가 복원될 것이라는 기대가 나오는 데 대해 새누리당내 일부 비박(비박근혜)계 의원들은 "오히려 과거 '민정당(전두환 정권 당시 집권 여당) 시절'로 돌아갈 우려가 커졌다"고 지적했다.

비박계 중진인 정두언 의원은 9일 "당·청 관계가 복원돼도 어떤 식으로 복원되느냐가 문제"라며 유 전 원내대표 사퇴로 "민정당 식으로 복원될 가능성이 꽤 높아졌다"며 이같이 말했다.

정 의원은 "정부가 잘못하는 것을 견제하고 바로잡는 게 당의 역할"이라면서 " 정부의 잘못된 국정 운영까지 당이 뒷받침하면 당과 정부가 모두 망하는 권위주의 정부의 행태를 답습할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청와대와 당 지도부가 제대로 하는지 눈을 부릅뜨고 지켜보겠다"고 밝혔다.

비박계 재선인 김용태 의원도 "경기 침체,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 등 국정운영 부진의 원인이 어디에 있었는가. 잘못된 당·청 관계, 여당 원내사령탑의 비협조가 문제였는가"라면서 "호흡이 잘 맞는 당·청 관계가 정립되면 국정운영은 순조로울 것인가"라고 반문했다.

이어 "그간 국정운영 부진의 원인 중 당·청 관계는 일부일 뿐이었다. 핵심은 생각이 다른 야당의 비협조로 많은 정책이 제때 집행되지 못했다는 것"이라며 "그간 청와대는 여당을 상대로 '지시'와 '질책'만 했는데, 여당은 국회선진화법이 엄존하는 현실에서 야당의 협조를 끌어내는 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지시와 질책으로만 될 일이면 무엇을 못하겠느냐만, 그렇게 할 수 없는 현실이니 이제 청와대가 '정치'를 해야 한다"며 "청와대가 원하는 당·청 관계가 됐다고 국정운영 부진을 불식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는 성급하고 위험하다"고 강조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