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폭력배들이 최근 들어 소규모·지능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청은 4월부터 3개월간 조직폭력 범죄를 특별 단속해 1449명을 검거하고 239명을 구속했다고 9일 밝혔다. 지난해 조직폭력 100일 특별단속(2월 24일∼6월 3일) 때보다 검거인원이 140%(845명)나 늘었다.
단속된 조폭의 특징을 분석한 결과 ‘10인 이하 조직’ 비중이 47.3%로 2013∼2014년 평균 28.5%보다 크게 증가했다. 활동기간 1년 미만인 조폭 조직도 63.2%나 됐다. 소규모로 단기간에 이합집산을 반복한 것으로 풀이된다. 경찰은 조폭들이 집단 패싸움, 도박장 운영 등 활동을 벌일 때 대규모로 움직이다 검거되면 조직 자체가 한 번에 무너질 수 있어 이같이 소규모로 활동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조폭의 범죄도 폭력을 행사하거나 유흥업소, 서민을 갈취하는 전통적 방식에서 다양화·지능화되고 있었다. 이번에 붙잡힌 조폭의 범죄 유형을 보면 폭력·갈취의 비중이 73.6%로 최근 2년 평균인 79.9%보다 6.3% 포인트 줄었다.
직업을 갖고 있는 조폭도 증가했다. 무직자 비중은 2013년 77.9%에서 이번에 62.2%로 크게 줄었다. 대신 같은 기간 건설업이 0.7%에서 2.8%, 운수업은 0.8%에서 1.4%로 늘었다.
과거엔 폭력 행사나 갈취로 먹고살 수 있어 굳이 직업을 가지지 않았다면 최근 들어 대외적으로 ‘그럴 듯한’ 직업을 유지하며 조직자금을 조달하는 것으로 경찰은 분석했다. 특히 보험사기, 전화금융사기, 대포물건 유통 등 지능범죄에 가담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연령은 30대 이하가 76.6%로 대부분이었다. 전과는 9범 이상이 53.6%를 차지했다. 경찰은 조폭 피해자 보호를 위해 피해자와 담당 형사 간 ‘핫라인’을 구축하고, 구속된 조폭이 출소할 경우 주기적으로 동향 관찰을 실시하기로 했다.
강창욱 기자 kcw@kmib.co.kr
‘조폭의 변신’… 소규모로 운영하며 이합집산, 그럴듯한 직업 갖기도
입력 2015-07-09 14: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