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8일 서울광장과 지난 5일 대구 동성로에서 열린 퀴어문화축제를 현장에서 지켜봤습니다. 성(性) 박람회를 방불케 하는 88개 부스와 대규모 퍼레이드를 보며 ‘동성애자들이 사회적 약자가 맞나’하는 의문이 들었습니다.
도심에서 대규모 축제와 퍼레이드를 하려면 막대한 예산과 인력, 조직이 필요합니다. 이들은 지난달 9일 서울광장 퀴어문화축제 개막식을 하면서 17개국 대사관 관계자를 초청하는 등 세력을 과시했습니다. 지난달 28일 서울광장 퍼레이드 때는 마크 리퍼트 주한미국대사까지 불렀습니다. 경찰과 대구 중구청의 행사 불허 결정을 뒤집기 위해 전문 변호사를 투입했고 결국 승소했습니다.
동성애자들이 정말 사회적 약자였다면 이 모든 것들이 가능했을까요. 인력과 재정, 네트워크를 모두 갖춘 힘 있는 집단이 아니라면 어려운 이야기입니다. 그럼 그 힘의 원천은 무엇일까요. 동성애자들이 외치는 ‘인권’과 ‘차별금지’ 등의 구호 이면에는 그들만의 집단적인 이해관계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 정부로부터 더 많은 지원을 받아내고 더 많은 이들이 동성애에 합류할 수 있도록 하는 게 그들의 실질적인 목표입니다. 이를 위해 강력한 응집력으로 뭉쳐있는 것입니다.
동성애자들의 전략은 효과적이었습니다. 한국사회 곳곳에 우군들을 확보했습니다. 동성애자들에게 가장 우호적인 기관은 국가인권위원회입니다. 성소수자를 돕는다며 각종 조사와 권고 등을 합니다. 심지어 ‘언론은 성적 소수자를 에이즈 등 특정질환 등 사회병리 현상과 연결짓지 않는다’는 인권보도준칙까지 만들었습니다.
두 번째로 우호적인 곳은 서울시입니다. 차기 대선후보 가운데 한 명으로 손꼽히는 박원순 서울시장은 지난해 10월 미국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한국이 동성결혼을 합법화하는 최초의 아시아국가가 되길 희망한다”고 밝혔습니다. 박 시장은 보도내용을 부인했지만 그동안 서울시가 추진해 온 동성애 관련 정책들을 보면 사실이라고 볼 수밖에 없습니다.
세 번째는 언론입니다. 국민일보를 제외한 대부분 언론은 친(親)동성애 보도를 쏟아내고 있습니다. 그러나 동성애자의 자살률, 평균 수명, 에이즈 감염 비율 등과 관련된 기사는 찾아보기 힘듭니다.
강력한 이익집단으로서 막강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동성애자들에게도 ‘아킬레스건’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에이즈 문제입니다. 한국에서 남성 간 성접촉, 즉 동성애는 에이즈의 주요 전파경로입니다. 이훈재 인하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에이즈 감염자 중 70~80%가 남성 동성애자일 것으로 추정합니다. 2011년 기준 에이즈 감염자 8542명 중 6000~6800명이 남성 동성애자라는 이야기입니다. 이는 동성애자들이 감염에 취약한 방식으로 성행위를 하면서도 에이즈 검사를 기피하는 데다 파트너를 자주 바꾸기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정부는 에이즈 감염자 1인당 연간 6000만원 정도인 약값을 100% 지원하고 있습니다.
한국교회는 동성애자들의 인간적 존엄성을 부정하지 않습니다. 동성애자들의 인권도 존중 받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동성애가 에이즈 확산, 성 중독, 전통적 가족해체 등 사회문제를 야기하기 때문에 성경말씀에 따라 ‘하나님이 창조하신 육체를 함부로 망가뜨리는 행위를 하지 말라’고 충고하는 것입니다. 항문성교의 권리, 성 소수자의 인권만 외치지 말고 동성애가 왜 에이즈 전파의 주요 경로인지 곰곰이 생각해보는 게 어떨까요.
백상현 기자 100sh@kmib.co.kr
[미션쿡] “이익집단이 된 동성애자들, 에이즈 검사부터 받아야”
입력 2015-07-08 17:38 수정 2015-07-08 1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