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연합 혁신위, 최고위원 및 사무총장직 폐지 파격 2차 혁신안 발표

입력 2015-07-08 16:54
이동희기자 leedh@kmib.co.kr

새정치민주연합 혁신위원회가 현행 최고위원제도와 당 사무총장 직제를 폐지하는 파격적인 내용의 2차 혁신안을 8일 발표했다. 계파별 기득권 다툼의 전쟁터로 지목된 최고위원회의를 지역·직능·세대 별 대표자 회의로 전환하자는 주장이다. 민생 정당으로 가기 위해 꼭 필요한 방안이라는 게 혁신위 생각이지만 당 지도부에서는 ‘논의할 여지가 있다’는 태도다.

김상곤 혁신위원장은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풀리지 않는 매듭은 자르는 게 맞다”며 “계파 권력 배분과 힘겨루기 장으로 변질된 현행 최고위원제를 폐지한다”고 선언했다. 이어 “권력 다툼의 대상이 된 사무총장제 폐지를 통해 당무 기구는 계파가 아닌 당을 위해 일하는 조직으로 변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고위원제·사무총장제 폐지 외에도 1차 혁신안에서 언급된 ‘선출직공직자 평가위원회’ 세부 구성안도 나왔다. 위원회는 위원장을 포함해 15명 이내로 구성된다. 전원 외부인사다. 평가위원장은 당 대표가 임명하며 평가위원은 위원장의 추천을 받아 대표가 임명한다. 혁신위 구성방식과 동일하다. 2년 임기의 위원들은 2차례 평가를 하게 된다. 평가 내용은 공천 심사에 반영된다.

혁신안은 우선 ‘최고위원들은 당내 계파를 대변하고 있지 국민들을 대변하지 않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나왔다. ‘과두(寡頭)적’ 최고위원제에서 ‘민주적’ 대의지도체제로 전환되면 기득권 싸움 양상으로 펼쳐졌던 당내 정쟁이 각 직능·세대별 정책 다툼으로 나타날 것이라는 게 혁신위 생각이다. 또 혁신위는 권한이 분산돼야 한다고 봤다. 당 실무와 조직 운영을 맡았던 사무총장의 권한을 ‘총무 본부장’ ‘조직 본부장’을 신설해 분산하도록 한 이유다. 여기에 ‘민생본부장’직을 더해 현재 을지로 위원회가 맡고 있었던 현장 중심 활동을 당 차원에서 추진하기로 했다.

당 지도부는 혁신안을 존중하자는 입장이지만 우려도 표명했다. 문재인 대표는 “혁신안을 존중한다. 저와 최고위는 약속드린 대로 혁신활동을 적극적으로 뒷받침할 것”이라면서도 “걱정되는 부분도 있는 게 사실”이라고 밝혔다. 이종걸 원내대표는 “기본적으로 존중한다면서도 “완성도가 좀 떨어진 것 같다”고 말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