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한반도에서 규모 2.0 이상의 지진이 총 18차례 발생했다.
기상청은 8일 ‘2015년 상반기 지진 발생 및 화산분화 현황’을 발표하며 이렇게 밝혔다. 디지털 지진 관측을 시작한 1999년부터 지난해까지의 상반기 평균 발생횟수인 26.1회보다 줄어든 수치다. 예년 상반기 평균의 3분의 2 수준이다. 기상청은 한반도 지각에 쌓은 응력이 안정화되면서 지진발생 횟수가 줄어든 것으로 분석했다.
규모 3.0 이상의 지진은 2회로 예년 평균 5.9회보다 적었다. 사람이 느끼는 ‘유감지진’의 발생 횟수도 2회로 예년 평균인 5.6회에 비해 훨씬 적었다.
기상청 관계자는 “국내 지진 발생 빈도는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의 영향으로 2013년까지 증가하다가 2014년 이후 한반도 지각에 쌓인 응력이 안정화되면서 예년 평균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세계적으로도 상반기 지진은 예년 평균보다 적게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미국지질조사소(USGS) 발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전 세계에서 발생한 규모 5.0이상의 지진은 743회였다. 1978년부터 2014년까지 상반기 평균 지진 발생횟수인 810회보다 67회 줄어든 수치다.
한편 올해 상반기 국내에서 발생한 지진 중 가장 큰 규모는 지난 1월 8일 인천시 옹진군 연평도 남남서쪽 18㎞해역에서 발생한 규모 3.5의 지진이었다. 일부 주민들이 흔들림을 느꼈지만 피해는 없었다.
전수민 기자 suminism@kmib.co.kr
기상청 “올 상반기 규모 2.0 이상 지진 18회 발생”
입력 2015-07-08 13:20 수정 2015-07-08 1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