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임금·단체협상(임단협) 최대 쟁점은 ‘임금인상과 복리후생 확대’인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 10곳 중 8곳은 올해 임단협이 순항할 것으로 전망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노조가 설립된 기업의 인사·노무 담당자 3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기업의 81.7%(복수응답)가 올해 임단협의 최대 쟁점으로 ‘임금인상 및 복리후생 확대’를 꼽았다고 8일 밝혔다. ‘통상임금, 근로시간, 정년 등 노동현안 해법’이 32.7%로 그 뒤를 이었다. ‘구조조정 및 고용안정’(4.7%), ‘경영 및 인사에 노조참여’(3.7%), ‘작업장 안전 및 산재예방·보상’(1.3%) 등의 대답도 있었다.
임금 협상안을 보면 회사 측은 임금총액 기준 평균 3.0% 인상을 제시한 반면 노조 측은 5.8% 인상을 요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기업들은 3.9% 선에서 타결될 것으로 내다봤다. 대한상의는 “수출감소와 내수위축 등으로 기업 경영 사정이 좋지 않아 임금인상 여력이 크지 않다”며 “지난해(4.1%)와 비슷한 수준에서 노사가 접점을 찾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응답 기업들은 하반기 노사관계 불안요인으로 ‘임금피크제 도입 등 임금체계 개편 추진’(56.3%)과 ‘노동시장 구조개혁’(33.3%)을 주로 지적했다. 이어 ‘정부의 위법·불합리한 단체협약 시정조치’(12.3%), ‘명예퇴직 등 고용조정 확산’(12.0%) 등의 순이었다. 또 응답기업의 17.2%가 위법조항인 ‘퇴직자 가족 등 우선·특별채용규정’을 단체협약규정에 두고 있다고 밝혔다. 39.7%는 ‘인사·경영권에 대한 노조 동의규정’을 가진 것으로 조사됐지만, 해당 규정을 올해 임단협에서 개선하겠다고 답한 기업은 32.8%에 그쳤다.
‘올해 임단협은 노사 자율합의로 타결될 것’이라는 응답은 84.0%로 낙관적 전망이 주를 이뤘다. 10.0%는 노동위원회의 조정이나 중재로 타결될 것이라고 내다봤고, 파업 돌입 후 타결되거나 올해 안에 타결되지 않을 것이라는 응답률은 각각 4.7%와 1.3%였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
대한상의 조사, 올해 임단협 최대 쟁점은…임금인상·복리후생 확대
입력 2015-07-08 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