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이 8일 긴급 의원총회를 열고 유승민 원내대표의 거취 문제에 대한 결의안을 채택키로 했다. ‘유승민 거취’ 정국에서 촉발된 여권의 내분이 더 이상 장기화돼서는 안 된다는 위기의식 때문으로 풀이된다.
새누리당이 의총에서 원내대표 거취와 관련한 결의안 채택을 시도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에 따라 유 원내대표 거취 문제가 새누리당 의총에서 어떤 식으로든 결론 내려질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하지만 비주류 의원들을 중심으로 반발하는 움직임이 있어 긴급 의총이 순탄하게 이뤄지지 않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새누리당은 7일 긴급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유 원내대표 거취 문제를 논의했다. 김 대표는 긴급 최고위 직후 기자 간담회를 통해 “8일 오전 9시 의총 소집을 요청했다”면서 “최고위원회의에서 새누리당의 미래와 박근혜 정권의 성공을 위한 원내대표 사퇴 권고 결의안 채택을 위한 의총을 개최하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사퇴 권고 결의안 결정 방식과 관련해 “가능하면 표결로 가지 않도록 노력하겠다”면서 “결의문을 만들어서 의총에서 발표하고 의원들의 동의를 구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유 원내대표 개인에 대한 신임과 불신임 투표 행위는 가능한 피해야겠다고 해서 의원들의 총의를 모은 권고 결의문을 채택하는 형식을 취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유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8일 의총에는 참석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의총이 사퇴 결의안 형식으로 치러지는 데 대해 “방식에 대해서는 전혀 관여할 생각이 없다”고 강조했다. 또 “어떤 결정이든 의총의 결정을 따를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결의안이 채택되기 전에 거취에 대한 입장을 밝힐 계획이 없음을 분명히 했다.
새누리당 지도부는 의총 소집이라는 강수를 두며 유 원내대표 거취 문제를 둘러싼 논란을 정리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내비쳤다. 형식은 의총이지만 유 원내대표가 버티기에 들어갔다고 판단하고 원내대표 자리에서 퇴진시키겠다는 의도가 깔려있는 것이다. 특히 친박(친박근혜)계와 김 대표 측도 유 원내대표 사퇴를 요구하고 있어 결의안이 채택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비주류 의원들은 유 원내대표 사퇴를 논의하기 위한 의총 소집에 반대하며 불참까지 고려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들의 주장을 받아 들여 의총 안건이 ‘원내대표 사퇴 권고 결의안 채택의 건’에서 ‘유승민 원내대표 거취에 관한 논의의 건’으로 변경되는 등 진통을 겪었다.
의총에서 결의안 채택 여부를 놓고 표 대결까지 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또 유 원내대표가 물러난다고 하더라도 여권의 계파 싸움이 진정될 것이라고 믿는 이는 많지 않다.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
유승민 거취 정국, 결론나나-8일 새누리당 긴급 의총
입력 2015-07-07 1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