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교육청이 연구용역을 거쳐 행정 예고한 ‘제주특별자치도 중학교 학교군 및 중학구에 관한 고시 개정안’을 두고 지역사회 갈등이 빚어지고 있다.
논란이 되는 부분은 제주시 애월읍 광령초등학교 통학구역 중 광령 1·2·3리 학생들은 제주시 제2학교군이나 귀일중학구 중에 선택하도록 한 부분이다.
광령 지역 주민들은 오래전부터 중학교 학구 조정을 요청해왔다.
교통 발달로 제주시 동(洞) 지역 생활권이 넓어졌으며, 버스 노선 거리상으로도 광령에서 제2학교군의 노형중까지 가는 거리(4.7㎞)가 귀일중학구의 귀일중(6.4㎞)까지 가는 거리보다 가깝다는 등의 이유에서였다.
이런 가운데 광령초에서 전학 가거나 주소를 이전해 제주시 동 지역 중학교로 배정받는 등의 문제가 되풀이돼 광령초 운영이 불안정하게 이뤄지자 광령 주민들은 민원을 제기했고, 교육청은 이를 받아들여 개정안에 반영했다.
그러나 이렇게 되면 광령초 학생들만 학교 선택의 폭이 넓어져 특혜의 소지가 있으며, 이로 인해 학생이 제주시 동 지역으로 유출돼 농어촌 학교가 위기에 놓이는 등 문제가 있다며 반발하는 목소리도 잇따르고 있다.
귀일중 운영위원회·학부모회·총동창회는 7일 제주도의회 도민의 방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같이 주장하며 “개정안이 예고되며 인근 초교에서는 상대적 박탈감에 따른 중학구 개정 요구 움직임이 도미노 현상처럼 일어나고 있어 지역 공동체 문화를 무너뜨릴 우려를 낳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은 이달 초 지역 주민 5300여명의 서명을 받아 도의회에 청원을 제출했다.
이들은 “연구용역 과정에서 여러 차례에 걸쳐 학교와 지역 주민의 의견을 종합한 개정 반대 의견을 제출했으나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며 개정안을 수정 보완해 달라고 요구했다.
그러나 광령 1·2·3리 주민과 학부모, 동문 일동은 이날 도교육청 기자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학구 조정을 가장 절실히 원하는 지역이 바로 광령이다. 학구 조정을 요구하는 비율이 90%가 넘는 유일한 지역이었다”며 개정안이 원안대로 통과돼야 한다고 반발했다.
제주=주미령 기자 lalijoo@kmib.co.kr
제주교육청 중학교 학교군(구) 개정안 두고 논란
입력 2015-07-07 16: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