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직격탄 맞은 구리 자영업자들 피해보상 고민

입력 2015-07-07 16:41
경기도 구리시가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의 직격탄을 맞은 지역의 자영업자들을 위해 다각도의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

7일 구리시에 따르면 이 지역의 경우 메르스 확진자가 체류했던 두 병원이 모두 대규모 복합건물 안에 입주해 있어 여느 지역과 달리 건물 내 업소들이 직접적인 타격을 받았다. 이에 대해서는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 경기도도 공감하고 있다.

실제로 구리에서 확진자가 거쳐간 병원 중 카이저병원 건물에는 41개, 구리속편한내과 건물에는 22개의 작은 업소들이 입주해 있다. 이들 업소가 메르스로 임시 폐쇄조치를 당하면서 카이저병원 건물의 경우 열흘, 구리속편한내과 건물의 경우 1주일 이상 영업을 하지 못해 적지 않은 피해를 입었다.

시는 이처럼 엉뚱한 피해를 입은 자영업자들에게 어느 정도 보상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지자체의 권한이 극히 제한된 여건 상 자체적으로 해결책을 제시하기가 쉽지 않아 고민을 거듭하고 있다.

시는 이 문제 해결을 위해 보건복지부와 경기도가 적극 나서주기를 건의하고 있다. 그러면서 박영순 시장 주재로 매일 열리는 메르스 비상대책회의에서 항상 이 문제를 거론하며 자체적인 해결방안도 찾고 있다.

시 관계자는 “메르스 피해 건물에서 생계를 이어가던 자영업자들의 실질적인 피해보상이 시급한 실정”이라며 “중앙정부 및 경기도와 긴밀히 협의하고 있으므로 조만간 좋은 소식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구리=정수익 기자 sag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