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시내버스 준공영제 최종 혁신안 발표

입력 2015-07-07 16:41
대구시는 7일 ‘시내버스 준공영제’ 최종 혁신안을 확정해 발표했다. 이번 혁신안은 재정 건전성을 높이는 경영 합리화와 노선체계 개편에 중점을 뒀다.

예산지원 근거인 표준운송원가 산정방식을 기존 실비(인건비 및 연료비)+평균비용에서 표준경비 통합지급으로 바꾼다. 합리적이고 정당한 원가 산정을 위해 5년 주기로 표준운송원가를 다시 산정하기로 했다.

업체별 자율경영권 보장을 위한 ‘수입금 목표 관리제’도 도입한다. 수입금목표액(기준+성과)을 설정해 성과 초과 시 인센티브를 주고, 기준에 미달하면 페널티를 부여한다.

운송원가 절감을 위해 차고지·압축천연가스(CNG)충전소 공영화, 9년에서 11년으로 시내버스 차령 연장, 하이브리드 저상버스 도입(최대 780대) 등도 추진한다. 준공영제 보완을 위해 급행 노선을 대상으로 한 ‘노선입찰제’를 시범 실시하고, 수요응답형교통(DRT)도 도입한다.

도시철도와 연계한 환승체계 구축, 교통사각지역 해소 등에 초점을 맞춘 시내버스 노선체계 개편안도 확정했다. 노선 개편에 따라 버스 60대를 감차할 계획이다. 대중교통 활성화를 위해 버스전용차로 조정, 승강장 거리·위치조정 등도 한다.

대구시는 사업별 세부계획 수립·용역, 관련조례 정비 등 절차를 거쳐 내년 1월부터 혁신안을 적용할 방침이다. 바뀐 버스 노선은 다음 달부터 적용된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