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연합 “호통 치는 왕조시대 여왕과 같은 언어”

입력 2015-07-06 17:07
사진= 이병주 기자

새정치민주연합은 6일 국회법 개정안 재부의 표결과 관련해 연신 강경 발언을 쏟아내며 여당 의원들의 표결 참여를 압박했지만 끝내 재의결이 무산되자 ‘대여 강경모드’ 전환을 선언했다.

문재인 대표는 의원총회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지난달 25일 국무회의 발언에 대해 “신하들 위에 군림하면서 마구 화를 내고 호통 치는 왕조시대 여왕과 같은 언어였다”며 “거부권을 행사하는 경우에도 대통령은 정중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그는 여당을 향해서도 “대통령에게 감히 아니라고 말하지 못하고 납작 엎드려 무릎 꿇고 반성문을 썼다”며 강하게 비난했다. 이종걸 원내대표는 “국회를 지키는 게 김무성 대표의 장래에 좋을 것”이라고 충고했고, 추미애 최고위원은 “대통령 한마디에 간 떨려 못하겠다는 식이라면 국회의원을 그만두라”고 비꼬았다.

새정치연합은 새누리당 의원들의 집단 표결 불참으로 국회법 개정안 재의결이 무산되자 당분간 청와대와 여당을 상대로 전면전을 펼칠 방침이다. 우선 박 대통령이 국회의원 시절이었던 1998년 공동발의한 국회법 개정안과 상위법을 위반했다고 판단한 시행령이 포함된 25개 법안을 재발의한다는 계획이다.

7월 국회도 순탄치 못할 전망이다. 새정치연합은 이미 정부의 추경예산과 관련해 “메르스 사태 및 가뭄 피해와 무관한 세입 보전 예산은 받을 수 없다”며 대대적인 ‘수술’을 예고했다. 당 일각에서는 이번 재의결 무산과 관련해 추경예산 점검 등 7월 국회를 통한 대여 압박의 수위를 더욱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그러나 새정치연합은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에 대한 공격 수위를 놓고 고민 중이다. 재의결 무산에 대한 책임을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에게 물어야 하지만, 당내에서는 유 원내대표를 여권 내 권력투쟁의 피해자로 규정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는 의견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야당 관계자는 “박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 이후 유 원내대표를 ‘엄호’하듯 하다가 갑자기 유 원내대표를 공격하는 것도 부담스러운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