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졸 여성, 비수도권 대졸자 등에 대한 취업 장벽이 과거에 비해 낮아졌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고용정보원이 6일 발표한 ‘대졸 청년층 취업 영향요인의 변동과 의미’ 보고서에 따르면 2012년 졸업한 남성 대졸자와 여성 대졸자의 취업경험률은 각각 79.5%, 78%로 큰 차이가 없었다. 이는 2005년 73.9%(남성)과 68.6%(여성)로 갈렸던 취업경험률 성별차에서 크게 완화된 것이다. 취업경험률은 대학을 졸업한 후 한번이라도 일자리를 가진 경험이 있는지를 나타내는 수치다.
고용정보원은 여성 대졸자의 취업을 막는 장벽이 과거에 비해 허물어지고, 결혼보다 취업을 선호하는 여성들의 적극적인 구직 노력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대학 졸업자들간의 취업경험률은 오히려 역전 현상이 벌어졌다. 2005년 조사에서는 수도권 대학 졸업자의 취업경험률(71.5%)이 비수도권 대학 졸업자(71.4%)보다 약간 높았지만, 2012년에는 비수도권대(79%)가 수도권대 졸업자(78.5%)를 앞질렀다.
교육 수준이 높은 부모를 둔 대졸자일 수록 취업경험률이 낮다는 분석도 나왔다. 부모의 경제력이 뒷받침 되는 경우에 긴 취업 준비 기간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
여성 지방 대졸자 취업차별 통념 완화됐나… 과거보다 줄어든 취업경험 격차
입력 2015-07-06 1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