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의료진이 폐암 수술을 받은 환자의 재발률을 예측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앱)을 개발했다.
분당서울대학교병원은 흉부외과 전상훈(사진) 교수 연구팀이 자체 빅(Big)데이터 연구기법을 적용, 2000년부터 2009년까지 10년간 국내 유명 대학병원 4곳에서 수술을 받은 제1기 폐암 환자 1700여 명의 재발 요인을 분석해 수식화하는데 성공했다고 6일 밝혔다.
이 수식은 다른 대학병원 2곳에서 수술 받은 460여 명을 대상으로 재발 요인 분석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는 비교 연구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였다. 폐 선암 환자들의 재발 가능성을 예측하는데 유용함이 입증된 것이다.
그 동안 1기 폐암은 수술 후 항암약물치료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명확하지 않아 의사의 판단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즉, 담당 의사의 개인 견해나 경험 차이 등에 따라 가장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할 가능성이 없지 않았다.
하지만 전 교수팀이 개발한 새 어플을 이용하면 의료진이 상황에 맞게 적절한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객관적 데이터를 조합해주기 때문에, 보다 객관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게 된다. 치료 결과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3가지 변수인 ‘병리학적 종양 크기’와 ‘폐조직내 림프계 침윤 여부’, 그리고 PET 검사의 ‘SUV값’ 등을 가중치에 따라 수치화했고, 이를 기반으로 폐암 재발확률을 계산할 수 가 있기 때문이다.
어플 사용법도 단순하다. 각 변수의 수치를 입력하고 ‘계산(Calculate)’ 버튼을 누르면 ‘재발 고위험군’(YES)인지 ‘재발 저위험군’(NO)인지를 알려주고, 1년 후와 3년 후, 그리고 5년 후 재발 확률까지 각각 백분율로 보여준다.
전 교수는 “빅 데이터를 통해 신뢰할 수 있는 의학 정보를 개발하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개별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은 이번 연구에서만이 아니라 의료 IT에 있어서도 큰 성과”라며 “1기 폐암 수술 후 보조항암약물치료 시행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것만으로도 이번 연구는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와 암연구재단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또 연구결과는 암 수술 전문 잡지 ‘외과임상종양학회연보’(Annals of Surgical Oncology) 온라인판 최신호에 게재됐다.
어플은 현재 미국 앱스토어에서 ‘Lung CALC’란 상품명으로 내려받을 수 있다. 전 교수팀은 앞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가를 얻는 대로 한국 앱스토어 다운로드 목록에도 올릴 계획이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
분당서울대 전상훈 교수팀, 폐암1기 환자 재발예측 앱 개발
입력 2015-07-06 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