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청소년이 현금을 내고 승차할 경우 성인 요금을 부과하는 데 대해 논란이 일고 있다.
연합뉴스는 6일 “지난달 27일 대중교통 요금이 인상되고 나서 중고생이 카드승차를 할 때는 720원을 내지만 현금승차 시에는 1300원을 내야한다”고 보도했다. 또 “마을버스의 경우에도 중고생은 카드승차 시 480원을 내고 현금으로 승차할 때는 2배가 넘는 1000원을 내야 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서울시는 청소년의 신분 확인 등으로 인한 운행지연과 사고 등을 막기 위해 현금에 한해 일반요금을 적용한다는 입장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현재 교통카드 이용률이 99%에 이르고 있어 현금을 이용할 때 일반요금을 적용하더라도 실질적 요금 부담은 미미하다”고 설명했다.
정태근 새누리당 성북갑 당협위원장은 “가정형편이 어려운 청소년의 경우 교통카드를 갖고 있어도 잔액이 부족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며 “카드 잔액이 부족하면 ‘잔액이 부족 합니다’란 소리가 단말기에서 흘러나오고 과다한 현금 결제를 요구받는다. 청소년에게 경제적, 정서적으로 상처를 주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또 “교복을 입은 경우에도 성인 기준의 현금 결제를 요구하는 것은 불합리한 행정”이라고 말했다.
교통카드 이용률이 절대적으로 높다는 시의 설명대로라면 굳이 현금과 카드 승차를 구분하고 과도한 요금차이를 둘 필요가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정 위원장과 주민들은 청소년과 중고생의 현금승차 요금을 시내버스 800원, 마을버스 500원으로 인하하도록 서울시에 요구하고 있다.
네티즌들은 “진짜 이건 좀 아닌 것 같다” “상식적으로 돈 좀 아끼려고 교복입고 출근하는 사람이 있냐. 밥에는 그렇게 관대하면서 등하교에는 왜 그렇게 팍팍하게 구냐” “야동에서는 성인이 교복입어도 아청법이라더니 교복입어도 교통카드 없으면 성인요금이냐” 등 비난의 목소리를 높였다.
시는 지난달 대중교통 요금을 올렸다. 지하철은 200원, 간븡지선븡마을버스는 150원 인상됐다. 어린이 현금 할증은 폐지됐다. 어린이 경우 시내버스는 교통카드와 현금 승차 관계없이 450원을 내면 된다. 마을버스의 경우에도 300원 동일 적용된다.
유수인 대학생기자
교복입어도 성인요금 내야해?…서울시 버스요금 논란
입력 2015-07-06 09: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