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산업시설 세계유산 등재… ‘강제 징용’ 안내센터 설치 전격 타결

입력 2015-07-05 22:52 수정 2015-07-05 23:15
미쓰비시 해저 탄광이 있던 하시마(端島.일명 '군함도'). 연합뉴스

조선인 강제징용 시설이 포함된 일본 ‘메이지(明治) 산업혁명 유산’이 유네스코의 세계유산으로 결정됐다.

독일 본에서 열리는 제39차 세계유산위원회(WHC)는 5일 일본이 신청한 23개 근대산업시설에 대해 세계유산으로서의 등재를 최종 결정했다.

한·일은 등재 과정에서 23개 시설 가운데 7개 시설에서의 조선인 강제노동이 있었다는 역사적 사실의 반영을 놓고 치열하게 다퉜지만 막판에 극적 합의를 도출, 한일을 포함한 전체 21개 세계유산위 위원국의 만장일치로 등재안이 통과됐다.

조선인의 강제노역은 일본 정부 대표단의 발언록과 주석(footnote)이라는 2단계를 거쳐 등재 결정문(Decision)에 반영됐다.

일본 정부 대표단은 이날 등재 결정 직전, 위원국을 상대로 한 발언에서 “일본은 1940년대에 일부 시설에서 수많은 한국인과 여타 국민이 의사에 반해 동원돼 가혹한 조건하에서 노역을 당했다”고 밝혔다.

또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 정부도 징용 정책을 시행하였다는 사실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조치를 취할 준비가 되어 있다”면서 “일본은 정보센터 설립 등 피해자들을 기리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해석전략에 포함시킬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등재 결정문에는 각주를 통해 “세계유산위원회는 일본의 발표를 주목한다(take note)”고 명시했다.

결정문의 본문에 들어가지 않았지만 각주와 일본 대표단의 발언록을 연계하는 방식으로 일본 근대산업시설에서의 강제노역 인정과 희생자를 기리기 위한 조치를 약속한 것이다.

일본 정부는 정보센터 설치 등 희생자를 기리기 위한 후속조치와 관련, 2017년 12월1일까지 세계유산위의 사무국 역할을 하는 세계유산센터에 경과보고서를 제출하도록 했고, 2018년 열리는 제42차 세계유산위원회는 이 경과보고서를 검토하도록 했다.

일본 정부는 지난해 1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센터에 등재를 공식 신청한 것을 시작으로 일방적 등재를 추진해왔고, 우리 정부는 강제노동 역사적 사실이 반영돼야 한다고 맞서며 치열한 외교전을 펼쳐왔다.

이번에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일본의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은 규슈와 야마구치 지역 8개 현 11개 시에 있는 총 23개 시설로 구성돼 있다.

이들 가운데 ‘지옥도’라는 별칭이 붙은 하시마(端島) 탄광을 비롯해 7곳이 대일 항쟁기 조선인 강제징용의 한이 서린 시설이다. 이들 7개 시설에 5만7천900명의 조선인이 강제동원됐고 그중 94명이 강제동원 중에 사망했다.

7개 시설은 나가사키의 미쯔비시 제3 드라이독·대형크레인·목형장, 타카시마 탄광, 하시마 탄광을 비롯해 이미케의 미이케 탄광 및 미이케 항, 야하타의 신일본제철 등이다.

천금주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