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는 자신의 거취 문제에 대해 입을 다물며 원내대표로서의 현안에 몰두하고 있다. 7월 임시국회 때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과 가뭄 피해 극복을 위한 추가경정예산안 처리 의지 등을 밝히며 ‘사퇴 의사 없음’을 우회적으로 내비취기도 했다.
유 원내대표의 거취 결단이 여권 내홍 확산의 분수령이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많지만 주변에선 그가 현재 국면을 정면 돌파하겠다는 뜻이 분명한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유 원내대표는 당장 7일 국회 운영위원회 회의도 예정대로 진행하겠다고 공언했다.
원내 관계자는 5일 국민일보와 통화에서 “(유 원내대표가) 국회법 개정안 재의 안건 처리 후 관련 입장을 낼지는 정해진 게 없다”면서도 “거취 문제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유 원내대표는 지난달 25일 박근혜 대통령의 국회법 개정안 거부권 행사로 열린 당 의원총회에서 사실상 ‘재신임’ 결론이 났고, 이후에도 상황이 바뀐 게 없다는 입장이다. 원내 부대표단은 물론 상당수 비박(비박근혜)계 의원들도 유 원내대표에 힘을 실어주는 분위기다. 비박계 의원들은 6일 본회의 전 별도 회동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유 원내대표를 중심으로 한 세력결집도 이뤄지고 있는 셈이다.
이들은 ‘배신의 정치’를 언급한 박 대통령의 국무회의 발언이 정계 개편의 신호탄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 원내대표의 사퇴가 친박(친박근혜)계의 당권 장악 시도로 연결될 수 있다는 의구심이다. 이 때문에 유 원내대표를 친박 공세의 최전선에 놓인 ‘바리케이드’로 보고 있다는 것이다. 한 의원은 “수도권 재선 의원들을 중심으로 원내 지도부를 향한 일종의 ‘응원’ 문자가 쇄도하고 있다”며 “유 원내대표의 결단은 이미 개인적인 차원을 넘어섰다”고 말했다.
여러 건의 여론조사에서 ‘사퇴론이 잘못됐다’는 평가가 우세하게 나타나면서 ‘명분 싸움’에서도 어느 정도 승기를 잡았다는 해석도 나온다.
그러나 유 원내대표가 여권의 내홍을 매듭짓는 차원에서 결국에는 거취 입장을 밝힐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전망도 여전하다. 공개 석상에서 고성과 막말이 오가며 계파 갈등이 여과 없이 노출될 정도로 당이 혼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당청 분열을 매듭짓지 못할 경우 내년 총선에서 공멸할 것이라는 우려도 확산되고 있다. ‘당의 화합’과 ‘국회법 개정안 폐기의 책임’이라는 명분을 쌓고 사퇴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
‘사퇴 의사 없음’ 우회적으로 내비취기도…그래도 마이웨이 유승민
입력 2015-07-05 1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