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여당 의원 모임에서 나온 ‘언론 통제’ 발언에 대해 8일 만에 사과했다.
아베 총리는 3일 열린 중의원 평화안전보장법제 특별위원회에 나와 “최종적으로는 내게 책임이 있다. 앞으로 자민당은 민주주의의 근간을 이루는 보도의 자유와 언론의 자유를 확실히 지키는 것을 관철하겠다”고 약속했다.
특위에서는 지난달 25일 자민당 의원 모임인 ‘문화예술간담회’에서 나온 “언론에 따끔한 맛을 보여주려면 광고 수입을 없애면 된다”는 발언에 대한 질의가 쏟아졌다.
당시 모임에서는 여당 의원들과 초청 인사 등이 광고주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을 비롯해 마음에 들지 않는 언론을 길들이는 방법을 거론했으며 언론 단체가 집단으로 항의 성명을 발표하는 등 파문이 일었다.
공격 대상으로 지목된 류큐(琉球)신보의 시오히라 요시카즈(潮平芳和) 편집국장과 오키나와타임스의 다케토미 가즈히코(武富和彦) 편집국장은 2일 일본기자클럽에서 회견을 열어 “모든 매체의 언론의 자유에 대한 도전”이라며 공동 대응을 촉구했다.
사태가 확산되자 자민당 내부에서도 비판이 잇따랐다. 도쿄신문에 따르면 이부키 분메이(伊吹文明) 전 중의원 의장은 니카이(二階)파 총회에서 “여당의 일원에게는 말하면 안 되는 것이 있다. (미디어도 정치도) 서로에게 권력을 억제해 사용해야 한다”고 하는 등 2일 열린 자민당 각 정파 모임에서 쓴소리가 이어졌다.
아소 다로(麻生太郞) 일본 부총리 겸 재무상은 아소파 총회에서 “(아베 신조 총리의) 응원단이 될 생각이었겠지만 발목을 잡는 결과가 됐다”며 문제의 ‘문화예술간담회’를 질타했다.
하야시 요시마사(林芳正) 농림수산상은 기시다(岸田)파 모임에서 “열린 입이 닫히지 않는다. 여당은 국민에게 거만하게 뻐기는 것으로 비치지 않도록 항상 조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베 총리가 이 문제와 관련해 공개된 장소에서 사과한 것은 처음으로, 비판 확산과 여론 악화를 의식한 행위로 보인다.
그는 사건 직후인 지난달 26일에는 “사실이라면 매우 유감이지만 행정부의 책임자로서 누가 어떤 발언을 했는지 보고하는 것은 어렵다” “사적인 공부모임에서는 자유롭고 활달한 논의가 있다. 그 자리에 있지 않았음에도 그 사람을 대신해서 사과할 수는 없다”는 등 방관자적 입장을 취해 비판 여론이 전방위로 확산돼 왔다.
김의구 기자 egkim@kmib.co.kr
아베 총리, 자민당 ‘언론통제 발언’ 8일만에 대국민 사과
입력 2015-07-03 1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