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 거취의 분수령이 된 오는 6일 국회 본회의를 앞두고 ‘친박(친박근혜) 대 비박(비박근혜)’ 간 충돌이 표면화되진 않았다. 하지만 수면 아래에선 향후 시나리오에 따른 대책을 모색하면서 세 규합에 나서는 등 팽팽한 긴장감이 흘렀다.
친박 주류는 6일을 유 원내대표 자진사퇴의 ‘디데이(D-Day)’로 보고 카운트다운에 들어갔다. 다만 전날 막말이 난무한 당 최고위원회의에 대한 비판 여론을 감안한 듯 도발적인 언사를 삼가는 분위기였다.
한 친박 의원은 3일 “유 원내대표가 6일까지도 결단을 내리지 않으면 재신임을 묻기 위한 의원총회 소집을 요구할 수밖에 없다”면서 “이미 의원들 서명을 받아 소집 요건을 갖춘 상황”이라고 말했다. 본회의에서 국회법 개정안이 새누리당의 ‘표결 보이콧’으로 재의결되지 않은 뒤 유 원내대표가 자진사퇴하는 방식으로 퇴로를 열어놨다는 얘기다.
그러나 비박 측에선 “친박이 청와대 의중에 따라 무책임한 공세에 몰입하고 있다”는 강경론이 가라앉지 않았다. 유 원내대표가 물러나면 ‘대야 협상’을 책임질 원내지도부 공백 상황이 한동안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특히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사태 등에 따른 경제침체 위기를 벗어나려면 정부의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안을 서둘러 통과시켜야 하는데 당내 분란으로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것이다.
당내 비주류 초·재선을 중심으로 “이미 의원총회에서 한 번 재신임 된 데다 의원들의 손으로 뽑힌 유 원내대표가 정당한 명분 없이 퇴장하도록 할 수는 없다”는 기류가 형성돼 있다.
유 원내대표는 흔들리지 않는 모습을 보였다. 그는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표단·정책위원회 연석회의에서 한국노총의 총파업 결의에 대해 “그렇지 않아도 메르스 등으로 경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인데 총파업은 국민의 지지를 받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전날 검찰 수사 결과가 발표된 ‘성완종 리스트’ 의혹에 대해 별도의 특별검사를 도입하자는 야당의 요구를 일축하기도 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전운 감도는 친박 대 비박…주말 세 규합
입력 2015-07-03 1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