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은 연일 ‘성완종 리스트’ 파문과 관련해 “별도의 특검을 수용하라”며 여권을 향해 전방위 공세를 펼치고 있다. 그러나 당 내에서도 여당이 별도 특검을 수용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인 가운데, 새로운 협상 카드 마련 작업에 매진하고 있다.
새정치연합은 3일 의원총회를 갖고 ‘성완종 특검’ 도입을 촉구하는 규탄대회까지 열며 청와대와 여당을 압박했다. 문재인 대표는 의원총회에서 “대통령과 정권이 의혹 대상인 만큼 상설특검은 해법이 아니다”라며 “우리 당이 이미 제출한 별도 특검이 답”이라고 강조했다. 이종걸 원내대표도 “새누리당이 갸냘프게 주장하는 상설특검은 파견검사가 5명으로, (진실규 명이) 도저히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새누리당은 야당의 별도 특검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일축했다.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는 원내대표단·정책위의장단 연석회의에서 “이 사건 발생 직후부터 필요하다면 언제든 특검을 수용하겠다고 밝힌 바 있으나 작년 여야 합의로 통과돼 현재 시행 중인 상설특검법을 무시하고 야당이 별도의 특검법으로 하자는 주장에는 결코 동의할 수 없다”고 말했다.
새정치연합 내에서는 별도 특검 실시를 위한 여당의 협조를 얻는 것이 사실상 힘들 것이라는 전망이 일반적이다. 공무원연금법 개정안 등 정치적으로 민감한 현안들이 대부분 처리돼 현재로서는 야당이 ‘주고받을 카드’가 많지 않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새정치연합 입장에서는 별도 특검을 주장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새로운 협상 카드를 만들 때까지 ‘성완종 리스트’ 파문에 대한 여론의 관심을 유지해야 하는 동시에, 당 외부로 시선을 돌려 계파갈등으로 인한 당 내분을 진화할 동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사무총장 인선 파동 이후 최고위회의 참석을 거부했던 이 원내대표도 전날 검찰의 수사발표 대응을 위한 긴급 최고위회의에는 참석했다.
당 지도부와 친박게이트대책위 등은 여당이 거부할 수 없는 협상 카드 마련을 위해 고심하고 있다. 여당이 주장하는 상설특검을 수용하되, 대선자금 수사와 박 대통령 측근의 불법 정치자금 수사 등을 분리해 복수의 상설특검을 동시에 운영하는 방안 등이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지도부의 한 의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여당이 상설특검은 언제든 받을 수 있다고 한만큼, 상설특검이라는 테두리 안에서 철저한 진실규명을 담보할 수 있는 방안을 다각도로 찾아보고 있다”고 말했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
새정치연합, ‘성완종 게이트’ 특검 전방위 공세
입력 2015-07-03 16: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