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한도전이 경징계면 보건복지부는 중징계” 하태경 “복지부, ‘염소’자료 삭제 은폐”

입력 2015-07-03 14:30

새누리당 하태경 의원은 3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염소 농가 피해, <무한도전> 경징계면 보건복지부는 중징계해야”라는 글을 올렸다.

하 의원은 “지난 1일 방송통신심의위원회는 MBC의 예능프로그램인 <무한도전>에 대하여 제재를 의결했다”며 “지난달 13일 방영분에서 <무한도전>의 진행자 유재석이 “메르스 예방법으로는 낙타, 염소, 박쥐와 같은 동물 접촉을 피하고 낙타고기나 낙타우유를 먹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라고 한 것을 문제 삼은 것“이라고 소개했다.

하 의원은 “이 방송이 나간 직후 국내 염소 농가들이 피해를 호소하자, 방통위는 그 책임을 <무한도전>에게 지웠다”라고 주장했다.

하 의원은 “<무한도전>이 ‘낙타와 염소의 접촉을 피하라’는 문구를 인용한 것은 정부의 메르스 예방법이 얼마나 비현실적인가를 풍자하기 위한 목적이었다”며 “맥락을 살펴보면 염소를 거론하는 자체가 부적절하다는 입장이었다”라고 전했다.

이어 “오히려 염소 농가를 대변했다고 해석할 수 있다”며 “다만, ‘중동지역’의 염소라는 표현을 빠트린 책임 때문에 <무한도전> 제작진은 공식 홈페이지에 사과문을 올리기도 했다”라고 말했다.

하 의원은 “염소를 접촉 금지 동물로 언급한 것은, 그 출처가 보건복지부의 <메르스 감염 예방 기본수칙>이다”라며 “WHO나 메르스 관련 외국 자료들을 보면 낙타 외에도 언급되는 동물들이 있다”라고 소개했다. 이어 “그 중에는 우리 나라에서 볼 수 있는 동물들도 있다”라며 “그렇기 때문에, 정부는 대국민 예방 수칙을 작성할 때 국민들의 오해가 없도록 신중했어야만 한다”라고 주장했다.

하 의원은 “이번 염소 농가의 피해는, 보건복지부의 메르스 예방 수칙의 문제점이 <무한도전>이라는 프로그램의 영향력 때문에 수면 위로 드러난 것이다”라며 “우리 주변에서 만날 수 있는 염소가 메르스와 관련이 있는 것처럼 혼란을 일으킨 최초의 원인 제공자는 보건복지부다”라고 말했다.

또 “보건복지부는 신중하지 못했을 뿐 아니라, 정정당당하지도 못했다”라며 “<무한도전> 때문에 논란이 일자 염소 농가의 비난을 피하기 위해 ‘염소’를 언급한 사실을 사후 조작 은폐했다”라며 “6월 22일, 처음 배포했던 보도자료(5월 21일자)에서 ‘염소’라는 단어를 삭제한 다음, 그 파일을 5월 21일에 배포한 자료인 것처럼 바꿔놓았다. 같은 날, 본 의원실에서 자료에 수정이 가해졌는지 문의하자 그런 사실이 없다고 답변해왔다”라고 지적했다.

하 의원은 “‘염소’를 언급한 것 때문에 물의가 빚어졌다면, 국민들이 더 이상 오해하지 않도록 공식적으로 해명을 하고 정정자료를 내는 게 순리다”라며 “그러나 날짜와 배포시간까지 기록된 공식 문서를 사후에 고쳐서 원래부터 ‘염소’를 언급한 적이 없는 듯이 은폐했다”라고 주장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