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갤럽이 7월 첫째 주(6월 30일~7월 2일 3일간) 전국 성인 1004명에게 박근혜 대통령이 대통령으로서의 직무를 잘 수행하고 있다고 보는지를 질문한 결과, 34%는 긍정 평가했고 58%는 부정 평가했으며 8%는 의견을 유보했다.
대통령 직무 긍정률은 지난 주 대비 1%포인트 상승, 부정률은 변함 없었다. 각 세대별 긍정/부정률 역시 20대 14%/73%, 30대 15%/78%, 40대 30%/65%, 50대 44%/47%, 60세+ 63%/31%로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주요 지지정당별로 보면 새누리당 지지층(403명)은 64%가 '잘하고 있다'고 답했고, 새정치민주연합 지지층(247명)은 88%가 부정적으로 평가했으며 지지정당이 없는 무당층(299명)에서도 부정적 견해가 더 많았다(긍정 19%, 부정 66%).
대통령 직무 수행 긍정 평가자(343명)에게 그 이유를 물은 결과(자유응답), '열심히 한다/노력한다'(22%)(-7%포인트), '주관, 소신 있음/여론에 끌려가지 않음'(18%)(+8%포인트), '외교/국제 관계'(12%), '복지 정책'(6%), '도덕성/사심·비리 없음'(5%)(+3%포인트) 등으로 나타났다.
직무 수행 부정 평가자(581명)는 부정 평가 이유로(자유응답) '소통 미흡'(18%)(+3%포인트), '메르스 확산 대처 미흡'(16%)(-11%포인트), '국정 운영이 원활하지 않다'(11%)(+3%포인트), '독선/독단적'(9%)(+6%포인트), '리더십 부족/책임 회피'(8%)(-3%포인트), '전반적으로 부족하다'(5%), '경제 정책'(5%) 등을 지적했다.
이번 주 대통령 직무 긍정/부정률은 답보 상태지만, 평가 이유에는 적잖은 변화가 있었다. 6월 한 달간 대통령 직무 평가의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했던 메르스 사태는 이번 주 소강 상태를 보였고 그에 따라 부정 평가 이유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줄었다.
긍정 평가 이유에서는 '주관, 소신' 응답이 증가하고, 부정 평가 이유에서는 '소통 미흡', '독선/독단적', '국정 운영 부진', '당청, 여야 갈등' 지적이 증가했는데 이는 모두 지난 달 25일 박 대통령의 국회법 개정안 거부권 행사 영향으로 추정된다.
당시 박 대통령은 여당 지도부를 포함 국회를 강하게 비판했고, 이후 여권에서는 유승민 새누리당 원내대표 사퇴 여부를 둘러싼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지지층은 대통령의 강경한 태도를 주관/소신으로, 비지지층은 소통 미흡, 독단으로 달리 본 것이다.
이번 조사는 휴대전화 RDD 표본 프레임에서 무작위 추출로 전화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됏으며 표본오차는 ±3.1%포인트(95% 신뢰수준)였다. 응답률은 19%(총 통화 5,345명 중 1,004명 응답 완료)였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朴대통령 부정평가 1위 소통미흡 18%” 국정 운영 미원활 11%
입력 2015-07-03 1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