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우 “온라인 책임성 없는 기사 적극 대응하겠다”

입력 2015-07-03 13:06

김성우 청와대 홍보수석이 3일 "댓글을 가지고 언론사가 기사를 작성하는 건 신중해야 한다. 최소한의 사실확인을 거쳐야 한다"고 말했다.

김 수석은 국회에서 열린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 나와 '기사화 되기 전 청와대에 인터넷 댓글에 관한 확인 절차가 있었나'라는 새누리당 심학봉 의원의 질의에 이 같이 답했다.

김 수석은 "(해당 언론사로부터)문의 전화를 받은 적 없다"며 "댓글을 갖고 언론사가 기사를 작성하는 것은 사람들에게 사실일 것으로 오해할 우려를 주기 때문에 최소한의 사실확인을 거쳐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온라인 상의 책임성 없는 기사나 이런 것은 가능한 한 적극적으로 대응해 일반 국민들이 사실 이상으로 불안해 하거나 오해가 없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최근 일부 언론에서는 '김성우 청와대 홍보수석이 특정 언론의 기사를 놓고 압박성 전화를 한 뒤 해당 매체에만 정부가 집행한 광고가 실리지 않았다'는 보도가 나왔다.

지난달 14일 박 대통령이 메르스 사태와 관련해 서울대병원을 방문, 격리환자들을 돌보는 간호사와 통화하는 장면에서 '살려야 한다'고 적힌 문구들이 눈에 띄었고, 이를 두고 지나친 설정으로 보인다고 지적한 여론들을 보도한 국민일보에 정부가 광고를 주지 않았다는 내용이다.

당시 김 수석은 국민일보 편집국장 등에게 전화를 걸어 "그게 기사가 되느냐"며 항의를 했고 이후 메르스 관련 정부 광고가 누락돼 연관성이 있는 게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