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은 유승민 원내대표 거취 논란의 주요 분수령이 될 주말을 앞둔 3일 비교적 차분한 모습을 보이면서도 물밑에서는 서서히 긴장감이 높아지는 분위기다.
유 원내대표의 사퇴를 촉구하는 친박(친박근혜)계는 6일을 '결사전'의 날로 꼽고 있다. 정의화 국회의장이 박근혜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로 되돌아온 국회법 개정안을 재상정하겠다고 밝힌 그 날이다.
유 원내대표가 사인한 개정안이 여당 의원들의 반대표로 부결되거나 또는 표결 불참에 따라 자동폐기로 가닥을 잡으면 일제히 이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퇴를 촉구한다는 전략을 짜고 있다.
한 친박계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6일까지만 시간을 주려고 그동안 발언을 자제했다"면서 "이때도 사퇴하지 않으면 재신임을 묻기 위한 의원총회 소집을 요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의총 소집 요구서에 최대한 많은 의원으로부터 서명을 받고, 주말 동안 인원을 재점검함으로써 '단일 대오'를 유지한다는 계획이다.
앞서 지난 1일에도 일부 친박계 의원들이 여의도 모처에서 비공개 모임을 갖고 유 원내대표의 사퇴 촉구 성명을 준비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맞서 비박(비박근혜)계도 물밑 움직임이 분주하다.
한 의원은 "유 원내대표가 물러나는 순간 정책위의장도 사퇴하면서 원내지도부가 진공 상태에 빠지는데 추경을 포함해 법안 처리를 위한 협상은 누가 하느냐"면서 "친박계가 아무런 대책도 없이 대통령 지시에 따라 움직이고 있다"고 비판했다.
유 원내대표가 6일 사퇴하고 나면 당장 8일 시작하는 7월 임시국회는 물론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과 가뭄 극복을 위한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에도 차질을 빚을 게 뻔해 친박계의 주장은 무책임하다는 반박이다.
비박계 역시 주말 동안 초·재선 중심의 '아침소리'와 같은 거점별 모임을 중심으로 이런 의견을 전파하고 최대한 우군 확보에 나선다는 방침을 세웠다.
다만 일단 양측 모두 세력 결집과 같은 두드러진 행보는 자제하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
전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유 원내대표 사퇴를 놓고 충돌하는 과정에서 욕설과 막말이 오가며 '난장판'을 연출하자 자중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한편, 내홍 정국의 한복판에 선 유 원내대표는 이날도 통상 업무를 수행하면서 평상심을 유지했다.
유 원내대표는 오전 원내대표단-정책위 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광주 유니버시아드 대회의 성공을 기원했다.
오히려 야당이 '친박 무죄'라고 규정지은 '성완종 리스트' 수사 결과에 대해 별도의 특별검사를 도입하자는 야당의 요구를 일축하며 청와대와 보조를 맞추기도 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친박 vs 비박,주말 세력 규합나선다” ‘콩가루’ 최고위 비판에 물밑 접촉 확대
입력 2015-07-03 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