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경환 조기 복귀론 솔솔

입력 2015-07-02 16:12
국민일보DB

친박(친박근혜)계 핵심인 최경환 경제부총리의 여의도 ‘조기 복귀설’이 모락모락 일고 있다.

친박 구심점이 없는 상황에서 최 부총리가 새누리당으로 빨리 돌아와 친박 세력을 이끌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현실성은 그리 높지 않다.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사태로 내수 경기가 얼어붙은 데다 그리스 부도 사태까지 터진 내우외환(內憂外患)의 상황에서 경제 수장을 정치적 이유 때문에 뺀다는 것은 상상하기 힘들다는 것이다.

박근혜 대통령의 복심(腹心)으로 통하는 최 부총리의 귀환은 여권 내부의 권력지형도를 바꿔놓을 중대 변수다. 박 대통령의 임기 반환점인 오는 8월을 전후해 최 부총리를 축으로 한 친위 체제를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이 친박 의원들 사이에서 나오고 있다.

친박 강경파 내부에서는 2단계 권력재편론이 나오고 있다. 1차로 유 원내대표를 사퇴시키고 2차로 친박계 최고위원들이 동반사퇴하면서 김무성 대표 체제를 와해시키는 방안이다. 이 경우 최 부총리를 비상대책위원장으로 옹립하거나 아예 당 대표로 세우겠다는 시나리오다.

이같이 도발적인 전략이 흘러나오는 이유는 내년 4월 총선 공천권과 연관이 깊다. 친박들은 김 대표가 ‘국민공천제’로 불리는 오픈프라이머리를 도입할 경우 청와대와 친박의 영향력이 크게 줄어들 것이라는 우려를 갖고 있다. 최 대표를 장수(將帥)로 내세워 공천싸움에 대비해야 한다는 게 일부 친박들의 생각이다.

특히 경북 경산·청도가 지역구인 최 부총리와 대구 동구을이 선거구인 유승민 원내대표는 대구·경북(TK)의 헤게모니를 놓고 언젠가는 외나무다리에서 대결을 펼쳐야 하는 운명이라는 얘기까지 나온다. 최 부총리의 조기 복귀는 그 신호탄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최 부총리 조기 귀환설이 현실화될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다는 게 일반적인 관측이다.

청와대도 조기 복귀설에 부정적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2일 “최 부총리가 새누리당으로 조기에 돌아갈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잘라 말했다. 최 부총리는 내년도 예산안을 처리한 올 연말쯤 새누리당으로 복귀할 가능성이 현재로선 가장 높다.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