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부진과 국제유가 하락 여파로 올 1분기 국내 대기업 매출이 11년6개월 만에 최대폭으로 감소했다.
한국은행은 2일 국내 외부감사 대상 법인 1만6000여 곳 가운데 3065개 기업을 표본조사한 ‘1분기 기업경영분석’ 통계에서 조사대상 법인기업의 매출액이 1년 전과 비교해 4.7% 감소했다고 2일 밝혔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5.5%)의 매출 감소율이 중소기업(-0.6%)의 감소율보다 컸다. 특히 대기업의 매출 감소율은 카드사태와 사스 여파로 경기가 부진했던 2003년 3분기(-6.3%) 이후 감소율이 가장 컸다.
업종별로는 국제유가 하락 영향으로 석유화학 부문의 감소율(-20.7%)이 가장 컸다. 철강의 공급과잉으로 금속제품(-7.1%)도 지난해 동기에 비해 매출이 줄었고, 스마트폰·가전제품의 수출 감소로 기계·전기전자(-4.0%) 부문 매출이 감소했다.
박성빈 한국은행 기업통계팀장은 “매출액 감소는 일차적으로 국제유가 하락에 따른 수출가격 하락 요인이 가장 크게 작용했다”며 “이밖에 엔저 심화와 세계수요 부진에 따른 자동차·스마트폰 판매 부진도 영향을 미쳤다”고 감소 배경을 설명했다.
다만 원자재가격 하락이 기업의 매출액은 감소시켰지만 수익성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1분기 조사대상 기업의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5.1%로, 지난해 같은 기간 4.7%보다 0.4% 포인트 상승했다.
기업규모별로는 대기업(4.6%→5.1%)의 영업이익률이 나아졌지만, 중소기업(5.0%→4.7%)은 악화했다. 이는 스마트폰 판매 부진으로 기계·전기전자 영업이익률이 8.8%에서 7.1%로 크게 낮아지면서 전자부품 협력업체들이 영향을 받은 탓으로 추정된다.
고세욱 기자 swkoh@kmib.co.kr
수출부진 유가하락으로 1분기 대기업 매출 11년6개월만에 최대 하락
입력 2015-07-02 13: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