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차기대선후보 적합도 1위 탈환...유승민, '박근혜 역효과’ 처음 1% 돌파

입력 2015-07-01 17:00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차기 대선주자 적합도 조사에서 1위 자리를 되찾았다.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확산에 따른 경기침체와 이로 인해 악화된 여론, 박근혜 대통령의 국회법 개정안 거부권 행사 등이 문 대표의 반등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와 머니투데이 더300(the300)이 1일 발표한 차기 대선주자 국가과제 실현 적합도 6월 조사결과를 보면, 문 대표 지지율은 5월 조사 때보다 0.7% 포인트 오른 23.5%를 기록해 1위를 차지했다.

지난달 1위로 올라섰던 김무성 대표는 4% 포인트 떨어져 18.8%를 기록해 2위가 됐다. 이는 지난 4월 조사(19.3%)보다도 하락한 수치다. 박 대통령의 국회법 개정안 거부권 행사 이후 당 분란 과정에서 지도력을 보여주지 못한 탓이 크다는 해석이 나온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메르스 효과’를 톡톡히 봤다. 지난달 3일 메르스 사태 관련 긴급 기자회견을 열면서 중앙정부보다 메르스에 더 잘 대처하는 모습을 보인 것이 주효했다는 평가다. 그의 지지도는 지난달(7.9%)보다 2배 가까이 오른 15.1%를 기록했다. 반기문 유엔(UN) 사무총장은 지난달(15.8%)보다 소폭 오른 16.6%로 3위 자리를 지켰다.

오세훈 전 서울시장(5.5%), 김문수 전 경기지사(5.4%), 새정치연합 안철수 전 대표(4.1%), 손학규 전 상임고문(3.8%)이 뒤를 이었다.

특히 박 대통령의 국회법 개정안 거부권 행사 후 당 안팎에서 사퇴 압박을 받고 있는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는 처음으로 지지도가 1%를 넘었다. 유 원내대표는 지난달 지지도가 0.4%에 불과했지만 이번 조사에서는 1.6%로 4배 상승했다.

박 대통령의 국회법 개정안 거부권 행사로 인해 박 대통령과 여당에 대한 악화된 여론이 반사이익으로 작용한 것도 문 대표의 1위 탈환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이번 조사는 경제 성장, 분배, 국민 통합, 민주주의 발전, 남북 평화와 통일 등 5개 국가 과제별로 적절한 차기 대통령을 먼저 질문 한 후, 전반적으로 차기 대통령으로 누가 가장 적합한지를 묻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지난달 30일 전국 19세 이상 유권자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됐고, 무선전화(50%)와 유선전화(50%)를 병행한 RDD(임의전화걸기) 방법으로 진행됐다. 표본오차는 95%(신뢰수준 ±3.1%포인트)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