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용표 통일부 장관이 세계적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남북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홍 장관은 30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 ‘한반도 국제포럼 2015’ 기조연설에서 “장마가 시작됐지만 아직도 한반도 전역은 가뭄 피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곧 장마와 태풍으로 인해 수해라는 정반대의 자연재해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구체적인 협력 구상도 드러냈다. 그는 “예를 들어 한강 및 임진강과 같은 남북 공유하천의 유량 공동 관리가 시급히 이뤄져야 한다. 또 산림협력을 통해 백두대간 등 하나로 연결된 한반도의 산과 숲을 푸르게 만들어 가야 한다”고 말했다. 홍 장관은 남북간 산림자원 공동조사, 종자교환 및 양묘지원 등 구체적인 방안도 제시했다.
그는 “정부가 지난 25일 민간단체를 통해 대북 산림·환경 분야 협력 사업을 지원하기로 발표한 것은 중장기적으로 기후변화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고 덧붙였다.
광복 70주년을 맞아 교류 확대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정부는 광복 70년을 공동으로 기념하기 위한 남북간 축구 같은 체육 교류와 안중근 기념관 건립 및 생가복원 등 민족 공동의 유산을 함께 발굴하고 보존하는 문화·역사분야의 교류를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개성공단의 조기 정상화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홍 장관은 “현재 남북한이 제대로 협력하고 있는 상징적 통로는 바로 개성공단”이라며 “현재 임금체계 개선 등 남북이 직접 만나서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산적해 있는 만큼, 하루빨리 (개성공단) 공동위원회가 열려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공동위원회가 개최되면 임금, 노무 문제뿐 아니라 탁아소와 진료소 등 전반적 근로환경 개선 문제, 3통 등 개성공단의 원활한 운영을 위한 문제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논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홍 장관은 이날 MBC TV ‘통일전망대’에도 출연해 북한 가뭄 피해에 대한 지원방안을 밝혔다. 그는 “과거 북한에 가뭄 피해가 있을 때 민간단체 통해 양수기 등 구호장비를 지원한 바 있다”며 “시급한 구호장비 지원을 먼저 이야기할 수 있고, 가뭄 이후에 장마나 태풍으로 인해 홍수가 날 경우에도 해결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근본적으로는 남북간 공유 하천에 대한 공동 관리가 해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5·24 대북제재 조치에 대해서는 “북한이 천안함을 폭침했고 그로 인해서 우리 국민, 장병 46명 희생된 사건이기 때문에 우리 정부가 북한에 책임 있는 조치를 취하라고 요구하는 것”이라며 “북한이 무조건 먼저 취하라고 요구하는 것이 아니고, 대화에 나와서 남북 간 서로의 생각을 허심탄회하게 교환하고 이러한 것을 통해 해결방안을 찾자는 것이 정부의 기본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
홍용표 "남북 공유 하천 공동 관리 필요"
입력 2015-06-30 1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