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 거취를 둘러싼 내홍이 외견상 한풀 잦아들었다. 사퇴를 촉구하는 친박(친박근혜)이나 이에 반대하는 비박(비박근혜) 모두 집단행동은 잠시 접고 숨고르기에 들어간 모습이다. 그렇다고 상황이 달라진 건 아니어서 조그만 불씨에도 갈등이 다시 불붙을 가능성이 크다.
유 원내대표 사퇴를 강하게 요구해왔던 친박은 30일 공개 발언을 자제했다. 일단 유 원내대표에게 정리할 시간을 주자는 분위기다. 이장우 의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당과 청와대, 국정 전반을 위해 지금이라도 사퇴 하는 게 최선이지만 유 원내대표가 고민해보겠다고 했으니 지켜보겠다”고 했다. 그러면서도 “사퇴 마지노선은 6일”이라고 못 박았다. 6일 본회의에서 국회법 개정안을 부결시키고, 이를 명분 삼아 거취도 정리해야한다는 의미다.
비박에서도 몇몇 의원들이 장외에서 사퇴 불가 목소리를 냈을 뿐이다. 정두언 의원은 MBC라디오에 출연해 “당이 압도적으로 재신임했다가 대통령 말 한마디에 결론을 바꾼다면, 당은 국민들로부터 웃음거리가 되고 민심도 떠날 것”이라고 했다. 또 “유 원내대표가 비굴하리만큼 사과를 했으면 받아들이고 타협을 해야지, 끝장을 보자고 하는 건 정치가 아니라 통치”라고 꼬집었다. 황영철 의원은 “지금 상황에서는 유 원내대표가 좀 더 생각을 정리하고 거취를 고려하는 시간을 주는 것이 도리”라고 했다.
양측이 잠시 휴전에 들어간 건 현실적으로 당장 취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서다. 친박은 전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유 원내대표 사퇴를 결정하려고 했지만 무위로 끝났다. 유 원내대표 거취를 논의할 의원총회 소집 계획은 거의 접었다. 유 원내대표가 또 한번 재신임을 받으면 더 이상 흔들 명분이 없어지기 때문이다. 절차적으로 의총에서 원내대표 사퇴를 결의할 수 있는 근거도 없다. 새누리당 당헌·당규는 원내대표 선출에 관한 사항만 규정하고 있다. 여태껏 표결로 원내대표 진퇴를 결정한 사례도 없다고 한다.
친박 최고위원들의 당무 거부나 동반 사퇴 역시 섣불리 꺼내들긴 어려운 카드다. 당을 와해시킨다는 비판을 감수해야하고, 당 지도부 붕괴로 이어졌을 때 친박이 주도권을 잡으리라는 보장이 없다. 결국 여권 내분 장기화에 따른 국정 운영 마비, 국회 파행 등을 집중 부각하면서 그 책임을 유 원내대표에게 돌리는 식으로 사퇴를 압박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비박 역시 유 원내대표 체제로는 당청 관계 회복이 불가능하다는 인식을 갖고 있다. 유 원내대표 지키기에 앞장선 재선 의원들 사이에서도 “사퇴는 시기의 문제이지 않겠나”라는 분위기가 조금씩 퍼지고 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숨고르기 들어간 친박·비박들…집단 행동 자제
입력 2015-06-30 1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