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전국의 주택가격 상승폭이 비수기에도 불구하고 지난달보다 확대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6월 전국의 주택 매매가격은 5월 대비 0.38% 상승했다.
중동호흡기질환(메르스) 사태와 계절적 요인으로 매수 문의가 감소 추세지만 기준금리 인하와 전세의 매매 전환으로 거래가 이어지면서 가격 상승폭이 지난달 0.34%보다 확대됐다.
수도권이 0.48% 상승했고 지방은 0.28% 올랐다.
지역별로는 대구가 0.91%로 가장 많이 올랐고 광주광역시(0.71%), 서울(0.50%), 경기(0.48%), 제주(0.45%), 인천(0.44%), 부산(0.39%) 등이 평균 이상 상승했다.
이에 비해 전북(-0.05%)과 세종시(-0.02%)는 5월에 비해 하락했다.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0.53% 오르며 상승세를 주도했고 연립주택은 0.20%, 단독주택은 0.10% 각각 상승했다.
전세는 물건 부족이 이어지면서 5월 0.44%보다 높은 0.49% 상승했다.
역시 대구시가 0.83%로 가장 많이 올랐고 광주광역시(0.81%)와 경기도(0.74%), 서울·인천(0.70%) 등도 오름폭이 컸다.
전세가격 역시 아파트(0.70%)의 상승폭이 연립주택(0.28%)과 단독주택(0.11%)보다 높았다.
김태희 선임기자 thkim@kmib.co.kr김태희 선임기자 thkim@kmib.co.kr
활황엔 비수기가 없다… 6월 주택 매매·전세가격 상승폭 확대
입력 2015-06-30 1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