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반성장위원회가 매년 대기업의 동반성장 수준을 평가하는 동반성장지수를 발표하고 있지만, 평가 받는 기업 다수가 현행 상대평가 방식 및 공표방식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전경련중소기업협력센터가 30일 발표한 ‘동반성장지수에 대한 주요 기업의 인식 및 보완과제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현행 동반성장지수 평가의 문제점으로 응답기업의 절반이상이 ‘업종별 특성을 고려하지 않는 획일적 평가방식’(61.2%)을 꼽았다. 또 ‘동반성장 실행부담에 비해 미흡한 인센티브 제도’(24.0%), ‘동반성장지수 평가대상 기업 선정기준 및 절차’(7.8%), ‘평가결과에 대한 피드백 및 이의신청 절차 미흡’(7.0%)순으로 나타났다.
동반성장지수 평가 방식의 보완과제로는 응답기업의 41.4%가 ‘업종별·규모별 특성에 따라 평가방식 다양화’를 택했고, ‘상대평가를 절대평가로 바꾸고 졸업기준 제시’(31.4%), ‘상위평가 기업만 발표하고 하위평가 기업은 미발표’(10.0%) 등 응답기업 80% 이상이 현행 평가의 산정 및 공표방식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동반성장지수를 평가받는 기업은 자동차·조선업체 부터 도소매·식품업체까지 다양한 업종의 대기업, 중견기업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업종 및 규모가 천차만별인 이들 기업의 특성과 여건을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상대평가 후 그 결과를 4개 등급으로 나누어 발표하고 있는 것이 문제라는 것이다. 특히 협력사와의 관계가 수직적이고 장기거래가 많은 제조 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협력사 교체가 빈번한 비제조기업이 평가에 불리하다는 지적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동반성장지수의 부담요소로는 응답기업의 절반가량이 ‘하위 등급을 받았을 경우 기업의 부정적 이미지 확산’(50.7%)을 꼽았고, ‘대기업에 부담을 주는 일방적인 동반성장 정책추진’(20.5%), ‘평가방식의 구조적 문제점으로 하위등급을 받을 수밖에 없는 실정’(15.1%), ‘평가를 잘 받기 위한 불필요한 사업추진 등 경영자원 낭비’(13.7%) 순으로 나타났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
전경련 “동반성장지수, 획일적 상대평가 개선 해야”
입력 2015-06-30 1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