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기 KBL 총재 “수사 상관없이 전창진 자격 심의”… 감독 등록 보류

입력 2015-06-29 17:08

승부조작 논란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프로농구연맹(KBL) 김영기 총재가 28일 서울 강남구 KBL 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불법도박과 승부조작 의혹 사건들로 심려를 끼쳐 드린 점에 사죄 말씀을 드린다”며 사과했다.

이어 “KGC 전창진 감독의 2015-2016 시즌 등록도 보류한다”고 덧붙였다.

전 감독은 불법 스포츠 도박 및 승부조작 혐의로 경찰에 소환돼 수사를 받고 있다. 지난 26일엔 은퇴한 프로농구 선수 A씨가 불법 스포츠 도박에 가담한 정황이 포착돼 경찰 조사를 받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김 총재는 “수사 중인 상황에서 KBL은 경기 내용에 대해서만 집중적으로 검토했다”면서 “사법 당국의 조사 결과와 상관없이 KBL 관련 규약에 따라 조만간 재정위원회를 소집해 전 감독의 자격 문제를 심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총재는 “전 감독이 무혐의 처리를 받더라도 규약 위배 여부를 따지겠다는 것”이라고 했다.

이에 따라 전 감독은 2015~2016시즌 등록이 보류됐다. 전 감독은 지난 4월 KT와 계약이 만료된 뒤 KGC에 영입됐다. 각 구단은 오는 30일까지 코칭 스태프와 선수들을 KBL에 등록해야 한다. KGC가 전 감독에 대한 등록을 신청할 경우 심의를 진행한 뒤 다음 달 초 재정위원회를 소집해 결론을 내리기로 했다. 최종 결정은 이사회에서 내린다.

KBL은 이미 경찰이 수사 중인 다섯 경기의 내용과 비디오를 보고 지도자로서의 자격(규약 105조)이 있는지, 경기에서 최강의 선수를 기용해 최선의 경기를 했는지(규약 17조) 그리고 모든 경기에서 최대의 능력을 발휘했는지(규약 70조)를 따졌다. 전 감독과는 직접 면담도 가졌다.

아울러 KBL은 불법행위 근절을 위한 제도 강화 방안도 마련해 발표했다.

우선 KBL은 윤리강령을 제정해 사회적으로 물의를 일으켜 명예를 실추시켰을 경우 처벌 규정을 강화하기로 했다. 또 경기 운영에 농구팬의 의견을 수렴하는 ‘팬 모니터링’ 제도도 도입한다. 불법 행위가 발생했을 때 구단에게도 불이익을 주는 ‘연대 책임제’ 도입도 검토하기로 했다.

김 총재는 “이미 10개 구단 단장의 의견을 수렴했다”면서 “각 구단들은 불법행위 추방을 위한 캠페인도 시행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한편 지난 25일 경찰에 소환된 전 감독은 다음날 새벽까지 이어진 조사에서 자신의 무죄를 주장했다. 전 감독은 다음 달 1일 다시 소환돼 조사를 받는다.

서윤경 기자 y27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