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태 새누리당 의원은 29일 유승민 원내대표 거취와 관련해 친박과 비박이 정면충돌하는 상황관 관련해 “사형수도 형을 바로 집행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평화방송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해 “유 원내대표는 정치인 집안의 자식이다. 물러날 때와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면서 “주변서 갈기갈기 찢어 끌어내리는 모습은 현실적 판단을 힘들게 할 수도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일방적으로 끌어내리는 방식의 책임 전가는 동료 의원으로서 도리가 아니다”라며 “자기주장을 굽히는 일이 좀처럼 없는 것으로 알려진 유 원내대표가 90도로 허리를 굽혀 사과하는 것을 보며 새누리당 동료의원들도 놀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친박계가 유 원내대표의 자진사퇴를 요구하고 있는 것과 관련해 “단지 청와대와의 관계를 고려해 물러나라고 여당 원내대표를 흔드는 것은 당청관계를 부정하려는 시도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국회법 개정안 거부권 정국의 모든 책임을 유승민 원내대표에게 돌리는 것은 도리가 아니라는 것이 김 의원의 주장이다.
앞서 새누리당 초·재선 의원들은 유승민 원내대표의 거취를 놓고 친박(친박근혜)계와 비박(비박근혜)계 간의 갈등이 고조되고 있는 것과 관련해 소통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영우 의원은 국회에서 열린 새누리당 초·재선 의원들의 모임인 '아침소리'에 참석해 "국민들이 볼 때는 (당 내 갈등을) 집안 싸움하는 것으로 느끼실 것"이라며 "특히 메르스 사태가 끝나지 않았고, 추경을 해야 하고, 야당과 협력해서 '민생 경제 살리기 법안'을 처리해야 하는 중차대한 시점에 당청 간 갈등이 벌어지고 있다. 정말 안타깝고 국민 뵙기 송구스럽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오늘 아침 이발소에서 이발사가 '왜 사람이 하는 일인데, 서로 이야기를 안 하는가'라고 말했다. 저는 거기에 답이 있다고 본다"며 소통을 강조했다.
이노근 의원도 "당청 간 마찰이 일어나는데, 이번 경우에는 소통이 부족했던 것 같다"며 "우선 소통 창구가 정무수석으로 청와대에 있는데, 정무수석은 중량급 있는 인사가 돼 국회의원과 스스럼없이 대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소통의 방식도 공식적인 소통 외에 비공식적 소통을 수시로 해야 된다"며 "대개 공식적인 석상에서는 자기 주장만을 얘기하기 때문에 갈등이 일어나기 쉽다. 그래서 비공개 소통을 강화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유승민, 왜 주변서 갈기갈기 찢어 끌어내리느냐” 김성태 “사형수도 형 집행 바로 안한다”
입력 2015-06-29 14: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