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의 6월 4주차(22~26일) 주간 집계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취임 122주차 국정수행 지지도(긍정평가)는 33.6%(매우 잘함 9.9%, 잘하는 편 23.7%)로 1주일 전 대비 1.3%p 하락했다. ‘국정수행을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평가 또한 60.3%(매우 잘못함 41.4%, 잘못하는 편 18.9%)로 0.2%p 하락했다.
일간으로는 국회법 개정안 거부권을 행사한 25일(목)부터 상황이 급변해, 긍정평가가 반등했다. 부정평가와 긍정평가의 격차는 25.6%p에서 1.1%p 벌어진 26.7%p, ‘모름/무응답’은 1.5%p 증가한 6.1%였다.일간으로 살펴보면 박근혜 대통령의 지지율은 25일(목) 국회법 개정안 거부권 행사 직전까지는 급락했고 이후에는 가파른 계곡 형태의 V자형으로 급등했는데, 메르스 확진자의 지속적 증가, 방역감시망 밖 환자발생 등 정부의 부실대책에 대한 논란과 이재용 삼성 부회장의 메르스 대국민 사과 이후 대통령의 대국민 사과를 둘러싼 논란이 증폭된 24일(수)에는 전 주 금요일(19일) 35.2%에서 5.3%p 급락한 29.9%를 기록하며 20%대로 떨어졌으나, 박 대통령이 국회법 개정안에 대한 거부권을 행사한 다음날인 26일(금)에는 24일(수) 대비 7.5%p 급상승한 37.4%로 30%대 중후반으로 올라섰다
국회법 거부권 행사에 의한 박근혜 대통령의 지지율 급상승 효과(목~금요일)는 대구·경북, 50대, 새누리당 지지층, 보수층 등 박 대통령의 핵심 지지층 외, 최근 메르스 사태 등으로 낙폭이 컸던 충청권 호남권, 20대와 40대에서도 나타났다. 거부권 행사 후 박 대통령의 지지율 상승은, 지지정당별로는 새누리당 지지층(13.2%p▲, 23일 67.2%→26일 80.4%), 정치성향별로는 보수층(12.8%p▲, 55.8%→68.6%)에서 급격히 상승했고, 지역별로는 광주·전라(14.1%p▲, 9.6%→23.7%), 대구·경북(12.7%p▲, 44.8%→57.5%), 대전·충청·세종(10.8%p▲, 31.8%→42.6%), 연령별로는 40대(12.6%p▲, 22.5%→35.1%), 20대(7.3%p▲, 9.8%→17.1%), 50대(6.7%p▲, 45.5%→52.2%)에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주간 집계 상으로는 한 달 이상 이어져 오고 있는 메르스 사태에 따른 악화된 여론이 주초중반까지 영향을 미치면서 대부분의 지역과 계층에서 하락한 것으로 집계 됐는데, 지역별로는 강원(7.9%p▼), 부산·경남·울산(6.5%p▼), 서울(5.1%p▼), 대전·충청·세종(2.1%p▼), 연령별로는 30대(4.8%p▼), 20대(4.7%p▼), 60대(3.0%p▼), 성별로는 여성(2.7%p▼), 직업별로는 농림어업(11.4%p▼), 사무직(3.6%p▼), 자영업(3.6%p▼), 지지정당별로는 새누리당 지지층(4.4%p▼), 정치성향별로는 보수층(2.3%p▼)에서 주로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주간집계는 2015년 6월 22일부터 26일까지 5일간 전국 19세 이상 유권자 2,500명을 대상으로 전화면접(CATI) 및 자동응답(ARS) 방식으로 무선전화(50%)와 유선전화(50%) 병행 RDD 방법으로 조사했고, 응답률은 전화면접 방식은 16.5%, 자동응답 방식은 6.3%였다. 통계보정은 행정자치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기준 성, 연령, 권역별 가중치 부여 방식으로 이루어졌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0%p이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박근혜 대통령 지지율 1.3%포인트 하락” 거부권 행사 전후 극명하게 엇갈려
입력 2015-06-29 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