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 내부의 헤게모니 싸움에 민생 현안이 뒷전으로 밀리면서 ‘정치 실종’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청와대는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의 사과에도 불구하고 ‘불신임 스탠스’에서 요지부동이다. 집권여당은 ‘정치의 묘’를 살리지 못하고 헤매는 형국이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여당 내 친박(친박근혜)과 비주류 간 힘겨루기가 시작된 만큼 사태는 쉽게 소강 국면으로 접어들지 못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여권은 그야말로 폭풍전야를 맞았다. 29일 경기도 평택의 평택상공회의소에서 열리는 새누리당 현장 최고위원회의가 유 원내대표 거취 문제에 대한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친박(친박근혜)계 맏형 격인 서청원 최고위원 등이 유 원내대표 책임론을 또 다시 꺼내들 가능성이 제기된다.
친박 의원들은 최고위원회의에서 어떤 방향으로 의견이 모아질지 지켜본 뒤 향후 대응 방안을 결정할 방침이다. 김태흠 의원은 “최고위원회의 등 사태 추이를 살펴본 뒤 유 원내대표의 거취 문제를 집중 논의할 의원총회 소집 요구서를 유 원내대표에게 전할 것”이라고 말했다.
여권에선 ‘최고위원 줄사퇴’에 이은 조기 전당대회 시나리오까지 우려하는 상황이다. 다만 29일 연평해전 13주기를 맞아 평택에서 최고위원회의를 여는 자리에서 유 원내대표를 향한 집중포화가 쏟아지기는 어렵지 않겠느냐는 분석도 나온다. 또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피해 지역이기도 한 평택에서 여권 내 갈등을 노출시키기는 부담스러울 것이란 관측이다.
하지만 여전히 돌파구는 마련되지 않았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청와대 및 당내 기류를 파악하는 등 대책 마련에 부심했다. 당 핵심 관계자는 28일 “김 대표가 여러 노력을 하고 있지만 (봉합이) 여의치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유 원내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사퇴 요구와 관련, “지금은 드릴 말씀이 없다”며 언급을 자제했다.
야당은 메르스로 인한 경기침체 등 ‘민생 파탄’ 책임을 여권으로 돌리며 공세의 고삐를 더욱 바싹 쥐고 나섰다. 새누리당은 새정치민주연합이 국회 의사일정을 전면 보이콧한 상황에서 여야 원내수석부대표 간 회동을 추진하고 있으나 성사 여부도 불투명하다.
이번 사태의 중심에 선 대통령과 의회와의 권력 관계를 재정립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이현우 서강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새누리당 의원은 집권여당 의원이기 이전에 의회의 구성원”이라며 “행정부를 견제할 의무도 갖고 있는 여당 의원들이 대통령의 모든 명령에 따르는 모습은 위험할 뿐 아니라 삼권분립 자체의 의미를 퇴색시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與 밥그릇 싸움…民生 축낸다
입력 2015-06-28 16:56 수정 2015-06-28 1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