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집권 자민당의 ‘언론 통제’ 발언의 파장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 특히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친위대격인 의원들의 발언해 아베 정권에 대한 반대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아베 총리가 보여온 극우적 시각에 더해 전근대적인 언론 통제 인식을 드러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28일 교도통신 등에 따르면 자민당 다니가키 사다카즈 간사장은 당내 의원모임인 문화예술간담회의 지난 25일 회합때 나온 언론 통제 발언에 대한 책임 추궁 차원에서, 모임을 주재한 기하라 미노루(3선) 당 청년국장에 대해 1년간의 당직 정지 처분을 내렸다고 27일 밝혔다. 또 당시 회합 때 문제 발언을 한 오니시 히데오, 이노우에 다카히로, 나가오 다카시 등 중의원 재선의원 3명에 대해서는 엄중 주의 처분을 했다.
지난 25일 약 40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문화예술간담회 회합에서는 “언론을 손보는 데는 광고료 수입이 없어지게 하는 것이 제일이니 게이단렌(한국의 전경련 같은 경영자 단체)에 영향력을 행사하면 좋겠다”, “(정권 운영에) 악영향을 주고 있는 프로그램을 발표하고 그 스폰서 기업을 열거하면 된다”는 등의 발언이 나왔다.
또 초청 연사로 나선 극우 성향 소설가 햐쿠타 나오키는 “(아베 정권의 정책에 비판적인) 오키나와(沖繩)의 두 신문(오키나와타임스와 류큐신보)은 뭉개지 않으면 안 된다”며 “있어선 안 될 일이지만 오키나와의 어느 섬을 중국에 빼앗겨야 정신을 차릴 것”이라고 말했다.
문화예술간담회는 아베 총리 핵심 측근인 가토 가쓰노부 관방 부장관, 하기우다 고이치 자민당 총재 특보 등이 아베 총리의 집단 자위권 및 개헌 행보에 힘이 되자며 결성한 모임이다.
손병호 기자 bhson@kmib.co.kr
일본 자민당의 전근대적 언론통제 발언 논란
입력 2015-06-28 1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