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한 이틀앞 이란 핵협상 '막판 진통'…연장될 수도

입력 2015-06-28 11:30
시한을 이틀 앞둔 이란 핵협상이 막판 진통을 겪고 있다. 특히 이란의 최고지도자가 군사시설과 관련된 핵 사찰 불가 등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협상이 쉽게 타결되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외교가에서는 협상 연장론이 솔솔 흘러나오고 있다. 시한을 며칠 간 더 늦추면서 막판 절충을 벌일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이스라엘과 사우디아라비아 등이 협상 참가국 중 하나인 프랑스 등을 내세워 핵 협상을 반대하고 있는 것도 협상이 더디게 진행되고 요인으로 꼽힌다.

이란과 미국 등 서방 외무장관은 27일(현지시간) 오스트리아 빈에서 협상을 시작했지만, 여전히 핵심 쟁점을 놓고 이견을 좁히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존 케리 미 국무장관은 “협상이 희망적이지만 풀어야 할 난제가 많다”고 말했다. 모하마드 자바드 자리프 이란 외무장관 역시 “협상을 진전시키기 위해선 정말 어려운 작업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압바스 아락치 이란 외무차관은 “협상 상대방(서방)이 4월 2일 합의한 포괄적 타결안에 대한 입장을 바꾸면서 더는 적용되지 않고 있다”며 불만을 표했다.

협상 참석자인 로랑 파비위스 프랑스 외무장관은 이날 빈에 도착해 “최소 3가지 쟁점이 해결돼야 한다”고 언급했다. 그가 말한 3가지 쟁점은 이란 군사시설 사찰 허용, 이란 핵기술 연구·개발 10년 이상 제한, 대(對)이란 제재 해제 등으로 추정된다.

협상장 주변에선 결렬보다는 정치적 타결 시한이었던 3월 31일을 이틀 넘긴 4월 2일에 포괄적공동행동계획(JCPOA)이 합의된 것처럼 이번에도 시한을 며칠 넘기거나 연장될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그러나 미국의 의회승인법에 따르면 다음 달 9일까지 이란 핵협상 타결안을 의회의 제출하지 않으면 검토 기간이 30일에서 90일로 늘어나는 만큼 연장이 되더라도 이 날짜를 넘기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손병호 기자 bhs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