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이 최재성 사무총장 인선 문제로 홍역을 치르면서 문재인 대표의 후속 당직 인선 작업도 속도를 내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사무총장 문제를 두고 이종걸 원내대표가 당무를 거부하며 문재인 대표와 정면으로 충돌하는 상황에서 후속 인사를 했다가 비주류가 반발할 경우 '투톱'의 관계가 더 꼬일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조직사무부총장 등 요직 인선이 늦춰질 경우 조기 총선대비 체제 구축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걱정도 나오면서 지도부의 고민은 더욱 깊어지는 모양새다.
우선 문 대표 측은 '긁어 부스럼'을 만들기보다 후속 인선 속도를 늦추는 신중론으로 방향을 잡는 모습이다.
거부권 정국으로 당 내홍이 소강상태를 보이는 만큼, 굳이 후속인선으로 상대를 자극할 필요는 없다는 판단으로 읽힌다.
문 대표 측 핵심 관계자는 28일 "일단 사무총장 인선으로 큰 고비는 넘긴 셈"이라며 "당분간 신임 사무총장을 중심으로 당을 추스르고, 나머지 인선은 그때그때 채워나가는 방식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지난달 사의를 표한 9명의 정무직 당직자 중 현재까지 교체된 사람은 양승조 사무총장, 김현미 비서실장, 윤호중 디지털소통본부장, 김경협 수석사무부총장 등 4명이다.
정책위의장의 경우 지도부는 강기정 의장을 유임하려는 입장인 가운데, 비노진영 일각에선 교체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흘러나온다. 다만 거부권 정국 이후 충돌을 자제하려는 비노진영 내 분위기도 감지돼 변수가 될 수 있다.
사무총장과 함께 선거를 지휘할 사무부총장 인선은 여전히 '교통정리'가 되지 않아 어수선한 모습이다.
수석부총장 임명을 받고도 고사의 뜻을 밝히고 사실상 당무를 거부해 온 김관영 조직부총장은 조만간 수석부총장으로서 당무에 복귀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지도부는 공석이 된 조직부총장 인선에 착수할 전망이다.
다만 아직 뚜렷한 후보군이 부상하지 않은 채 원점에서 검토해야 하는데다, 최근 사무총장 인선을 두고 홍역을 앓았다는 점 등에서 계파 안배도 신경을 써야 하는 만큼 지도부가 인선에 속도를 내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조직부총장의 경우 매번 계파갈등의 불씨가 돼 온 요직이라는 점에서도 지도부로서는 더욱 조심스럽게 접근할 수밖에 없다.
비노진영에선 벌써부터 "김 부총장이 수석·조직 부총장을 겸해야 한다", "새 조직부총장은 복수로 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등 촉각을 곤두세우는 모습이다.
이처럼 당직 인선이 복잡하게 얽힌 가운데, 지도부는 30일 '유능한 경제정당위원회'를 공식 출범시키면서 경제정당 행보를 강화할 계획이다. 위원회 활동을 뒷받침하기 위한 '국민경제연구센터' 역시 조만간 출범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당직 인선갈등에서 중도공략으로 시선을 돌려 리더십을 안정시키겠다는 전략으로 읽힌다.
그러나 총선이 1년도 채 남지 않은 상황에서 총선대비 체제 구축이 시급한 만큼, 무작정 당내 인선을 미뤄서는 안된다는 주장도 나온다.
안철수 전 대표가 고사한 인재영입위원장 자리에도 대안을 찾지 못해, 자칫 총선을 앞두고서 인재 수혈에 지장이 생길 수 있다.
당 관계자는 "문 대표로서는 비노진영을 자극하지 않으면서도 늦지 않게 인선을 해야 하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사무총장 파동에다 거부권 정국까지...” 野, 후속 당직 인선 주춤
입력 2015-06-28 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