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김무성 대표 ‘2기 체제’ 당직 인선이 거부권 파동으로 한동안 단행되기 어려워졌다는 전망이 나온다.
김 대표는 취임 1주년을 맞는 7월 14일 이전 2기 체제 당직개편을 마치고 6월 국회가 끝나면 곧바로 총선 준비에 돌입하려는 구상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국회법 개정안 거부권 파동 이후 당 내홍이 격화되면서 인선 시기를 기약할 수 없는 상황이 됐다.
앞서 지난 16일 이군현 사무총장과 강석호 제1사무부총장이 “총선 체제로 가야한다”며 자진사퇴했고, 이를 신호탄으로 대변인 등이 잇따라 사의를 표했다. 그러나 보름이 지나도록 2기 체제를 갖추지 못해 사의를 밝힌 당직자들이 당무를 이어가고 있다.
이번 거부권 정국은 계파 갈등을 촉발시킨 만큼 김 대표의 인선 개편 내용에도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사무총장 자리나 지명직 최고위원 등 주요 당직 인선 시 계파 안배를 신경 쓸 수밖에 없다는 이유에서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
거부권 파동, 김무성 2기 당직개편에도 불똥
입력 2015-06-28 06: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