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이정현 최고위원은 26일 박근혜 대통령의 국회법 개정안 재의 요구를 계기로 당내 논란이 불붙은 유승민 원내대표 책임론과 관련, "유 원내대표와 청와대와의 신뢰는 이미 무너졌다고 본다"며 거듭 자진사퇴를 촉구했다.
청와대 홍보·정무수석을 지낸 '친박(친박근혜) 핵심'인 이 최고위원은 유 원내대표와 청와대와의 관계를 "깨진 유리잔"으로 비유하며 "유 원내대표가 원내대표로 있는 한 당·정·청 간 협의를 통해 국정이 정상적으로 운영될 리가 없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그는 이어 "어떻게 하는 것이 이 사태의 근본적인 수습 방안인지는 유 원내대표가 스스로 결정할 문제이지만 이렇게 어마어마한 사태에 대해 아무도 책임지지 않고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 넘어갈 수는 없다"고 거취 정리를 요구했다.
이 최고위원은 또 일각에서 대통령 탈당설, 신당 창당설, 최고위원 총사퇴 가능성 등이 거론되는 데 대해 "이번 사태에 대해 새누리당은 책임 있는 여당의 모습을 분명히 보여줘야 국민 신뢰를 받게 될 것"이라고 지적한 뒤 "정치적 책임을 지는 방법은 다양한 형태가 있을 수 있다"며 "유 원내대표가 끝까지 책임지길 거부한다면 그 어떤 가능성도 열려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특히 최고위원 총사퇴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유 대표가 재신임을 받았다면서 책임을 회피한다면 결국 다른 사람이 책임질 수밖에 없다"라고 말해 가능성을 열어뒀다.
이 최고위원은 유 원내대표가 이날 박 대통령에게 사과한 데 대해서도 "지금까지 뭘 어떻게 했길래 잘못했다고 사과하는 것인지에 대한 반성이 없는 사과는 순간을 모면하기 위한 형식적인 것에 불과하다"면서 "과거는 잊고 사과했으니 앞으로 더 잘하겠다는 말로는 당·정·청의 신뢰를 회복하기 어려운 상황인 것 같다"고 평가절하했다.
그러면서 "지금과 같은 이런 사태가 반복될 수밖에 없고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과 내년 총선에서 새누리당 후보들이 입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최고위원은 유 원내대표 체제에서 당·청 갈등이 촉발된 가장 큰 문제로 "기본적으로 당·정·청 관계를 공동운명체 내지 상호보완 관계로 보지 않는 시각"을 꼽았다.
특히 "국회의원으로서 개인 소신과 원내대표로서의 발언은 엄연히 구분돼야 함에도 국정의 책임을 맡은 대통령과 정부 철학에 대해 정반대 시각을 갖고 계속 임한다면 당연히 불신이 쌓일 수밖에 없다"고 유 원내대표를 겨냥했다.
또 "당·정·청 간 유대와 협조 대신 본인이 직접 교섭단체 대표연설이나 기자들과의 대화를 통해 대통령과 청와대 비서진에게 막말식 비난을 하는 등 도저히 상식적으로 이해할 수 없는 공세를 펼쳐왔다"면서 "유 원내대표가 국민을 위한 정치를 하는 게 아니라 개인의 존재 부각을 위한 정치를 하는 점이 가장 큰 문제"라고 꼬집었다.
유 원내대표의 협상력 논란에 대해서도 "문제가 있다"며 "협상과정에서 야당 요구를 가합의문에 다 집어넣고 청와대나 당 의총, 당 회의에서 이 문제를 결정하도록 미루는 것은 제대로 된 협상이 아니며, 자신들은 욕먹지 않고 대통령과 청와대, 당 지도부에 떠넘기는 무책임한 태도"라고 비판했다.
전날 의총 결과에 대해선 "국회법에 대한 거부권 행사와 관련한 대책을 논의하는 자리였고 결론이 난 것은 대통령의 뜻을 존중하자는 것 하나뿐"이라며 "(유 원내대표) 책임에 대해선 엄연히 논란이 있었고 그 부분은 현재진행형"이라고 말했다.
이밖에 박 대통령이 국무회의에서 여당 지도부를 겨냥 '배신의 정치'라고 언급한 데 대해 "비대위원장 시절 손이 퉁퉁 붓도록 지원유세를 다니며 국민을 위해 일할 사람이라고 소개했는데, 국민을 위한 법은 거부하고 위헌법률은 전광석화같이 만들어 대통령이 거부권까지 행사하게 하는 사태를 지켜보며 국민에 대한 배신이라고 봤을 것이고 선거 때 심판해달라고 하지 않았겠나"라고 해석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청와대-유승민 신뢰 이미 깨졌다” 이정현 “사퇴 거부하면 모든 가능성 열려있다”
입력 2015-06-26 1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