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법 거부권 정국의 한고비를 넘긴 김무성 대표를 비롯, 새누리당 지도부가 난마처럼 얽힌 여권 내 갈등과 대야 관계를 함께 풀 수 있는 묘수 찾기에 부심하고 있다.
국회법 개정안을 재의하지 않기로 당론을 모으고 유승민 원내대표가 박근혜 대통령에게 사과하면서 당·청 간 파국을 피하는 데 주력하고 있지만 친박(친박근혜)계가 여전히 사퇴 압박의 고삐를 늦추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새정치민주연합이 박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 이후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관련법을 제외한 모든 국회 의사일정 협의를 거부한 상태여서 여야 관계도 급속도로 얼어붙으면서 당 지도부로서는 말 그대로 '설상가상'의 형국이다.
당·청 갈등, 당내 계파 분란, 여야 대치라는 '삼각파도'를 헤쳐나가야 하는 힘겨운 상황에 빠진 셈이다.
당 지도부는 일단 주요 당직자들을 내세워 당내 분열을 최소화하면서 야당에 대한 공세를 통해 국면전환을 시도하려는 모습을 보이는 데 집중하고 있다.
김영우 수석대변인은 26일 CBS 라디오에 출연해 전날 유 원내대표의 의총 후 발언을 언급하면서 "앞으로 그렇게 풀어가면 될 일이지 원내 지도부가 물러나고, 이런 상황에서 새로운 원내 지도부 선거를 하고, 자칫 계파 간의 갈등으로 비화가 되면 국정 운영이 점점 더 어려워질 수 있다"며 봉합에 나섰다.
박대출 대변인은 이날 새정치연합 문재인 대표가 박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에 대한 입장을 발표한 것과 관련, 서면 브리핑에서 "헌법을 수호하고 보다 나은 국정 운영을 위해 내린 대통령의 결단을 정치 이벤트로 깎아내리는 것이야말로 책임회피· 적반하장"이라고 각을 세웠다.
당·청 갈등을 초래한 '당사자'로 지목된 유 원내대표는 전날 의총에서 "청와대 식구들과 함께 (당청) 관계를 개선하겠다"고 말한 데 이어 이날 "박근혜 대통령께도 진심으로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린다"며 한껏 자세를 낮췄다.
유 원내대표는 특히 기자들과 만나 공무원연금법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야당의 요구대로 국회법 개정안을 연계한 과정을 언급하며 "야당이 요구해 국회법(개정안)이 부수적으로 따라오는 부분에 대해 제가 대통령께서 걱정하시는 만큼 생각을 덜 했던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고 부연하기도 했다.
김무성 대표 역시 전날 의총 결과와 관련해 "거부권 행사에 대한 대통령의 뜻은 존중돼 당에서 수용됐다"고 평가한 뒤 일각에서 제기된 박 대통령의 탈당 가능성에 대해서는 "새누리당은 박근혜 대통령께서 거의 지금까지 만들다시피 한 당인데, 그런 일이 절대 있을 수도 없고, 있게 하지도 않겠다"고 강조했다.
여권 내홍에 대한 이런 수습 시도는 비박계인 '투톱' 김 대표와 유 원내대표가 친박계 중심으로 증폭되는 당내 파열음을 제대로 수습하지 못하면 앞으로 당을 이끌어가기 어렵다는 현실인식이 기저에 깔려 있다는 분석이다.
특히 일각에서는 친박계 최고위원들이 유 원내대표의 유임에 집단 반발하며 동반사퇴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어, 자칫 지도부 와해 가능성까지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그러나 청와대가 유 원내대표의 '반성문 제출' 등 사과 메시지에도 여당 지도부를 향한 싸늘한 시선을 거두지 않고 있는데다 친박계의 유 원내대표 퇴진 주장도 가라앉지 않고 있고, 야당의 국회 보이콧도 계속될 조짐이어서 해법 찾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이런 가운데 원내 지도부는 박 대통령이 강조한 민생·경제법안 처리를 위해 새정치연합과의 '물밑 접촉'도 계속한다는 방침이다.
실제로 조해진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과 오는 주말에 6월 임시국회에 계류된 법률안 처리를 위해 새정치연합 이춘석 원내수석부대표 등 야당 측과 다각도로 접촉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與, 최악의 3대 악재에 갇히다” 당청갈등·계파분란·여야대치
입력 2015-06-26 16: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