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이 박근혜 대통령의 국회법 개정안 재의 요구 이후 '반성모드'를 보이고 있는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를 강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지금까지는 '적의 적은 동지'라는 관점에서 청와대와 불편한 관계를 이어온 유 원내대표를 티나지 않게 '엄호'해 왔지만 이번 파문 이후 이런 관계에 마침표를 찍고 등을 돌린 것이다.
새정치연합 박수현 원내대변인은 26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박 대통령에 대한 유 원내대표의 사과 발언과 관련, "정치인으로서 줏대를 지키기 바란다"고 지적했다.
또한 "자리는 얻었을지 모르지만 국민의 신뢰는 잃었다"며 "지지를 받으려면 국회의 본래 권한인 입법권을 지키기 위한 본연의 임무로 복귀할 때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유 원내대표를 협상 상대로 인정하지 않는 것이냐는 질문에 대해 "최소한 재부의 일정을 잡아오기 전까지 파트너로 인정할 수 없다는 게 이종걸 원내대표의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유 원내대표의 사퇴를 요구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남의 집 밥상에 감놔라 배놔라 하는 것으로, 주제넘은 것 같다"고 말했다.
허영일 부대변인은 논평에서 "무릎 꿇고 반성했지만 자리보전도 위태로운 상황이 안쓰럽다"며 "오늘은 보수 혁신의 깃발이 포말처럼 사라진 한국 정치사의 슬픈 날"이라고 비판했다.
아울러 "대통령의 부당한 압력에 고개를 숙임으로써 더 큰 정치인으로 도약할 계기를 상실한 것이 안타깝다"며 "개혁적 보수, 합리적 보수를 기대하는 많은 국민들의 기대는 '한여름 밤의 꿈'이 되고 말았다"고도 말했다.
김상곤 혁신위원장은 유 원내대표의 사과에 대한 기자들의 질문에 "청와대와 새누리당의 갈등에 대해서는 참으로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청와대 우위가 이렇게 이뤄져서는 한국정치의 미래가 밝지 않다"고 말했다. 함께 있던 임미애 혁신위원도 "실망스럽다"고 말했다.
유 원내대표의 협상 파트너인 이종걸 원내대표는 같은 질문에 "또 (사과)했어요?"라고 반문했다.
이런 냉담한 분위기는 유 원내대표를 믿었지만 결국 '뒤통수'를 맞았다는 배신감이 적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 원내대표로서는 당내 강경파의 반발을 무릅쓰고 유 원내대표와 함께 국회법 개정안의 국회의장 중재안을 통과시켰지만 결국 새누리당이 재의결 불가 당론을 정하면서 리더십에 타격을 입게 됐다.
여기에 이날 유 원내대표의 사과는 그나마 남아있던 일말의 기대감도 접게 만들었다는 게 새정치연합의 반응이다.
그러나 또 한편으로는 유 원내대표의 '좌클릭'으로 인해 내년 총선에서 중도층 외연확장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우려가 있었는데, 차제에 애매한 관계를 정리함으로써 이런 걱정을 해소하자는 속내가 있는 게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유승민, 자리보전도 위태로운 상황 안쓰럽다” 野 “줏대는 지켜주기 바란다”
입력 2015-06-26 16: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