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근대산업시설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추진과 관련해, 한·일이 세계유산위원회의 결정문에 주석(註釋)을 다는 형식으로 조선인 강제노동 사실을 적시하기로 합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 소식통은 26일 “조선인 강제노동 반영 문제에 대해 양국이 이런 의견에 접근한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주석은 등재 결정문에 유산 가치를 설명하는 부분에 ‘Noting that(주목한다)…’로 시작되는 문구 뒤에 강제노동과 관련된 역사적 사실을 기술하는 방식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한·일은 아직 강제노동 사실을 어떤 내용과 수준으로 표현할지에 대해서는 계속 줄다리기를 하고 있다.
양국 외교당국은 지난 21일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외무상간의 도쿄 회담에서 큰 틀에서 이 문제의 가닥을 잡았고, 최종문 외교부 교섭대표가 다음날 도쿄로 건너가 일본측 파트너인 신미 준(新美潤) 외무성 국제문화교류심의관과 세부조율을 벌였다.
등재문과 별도로 관련 시설에 강제노동을 알리는 장치 마련도 관심사다. 유적 현장 설명판이나 해당 지자체 홈페이지, 방문자용 팸플릿 등에 강제노동을 적시하는 방안이 거론돼왔다.
현지시간으로 오는 28일부터 다음달 8일까지 제39차 세계유산위원회가 열리는 가운데 이 시설의 최종 등재 결정은 다음달 3∼5일 회의에서 이뤄진다. 우리 문화유산인 백제역사유적지구의 등재 여부도 같은 기간인에 최종 결정된다.
한·일의 두 유적은 사전심사를 담당하는 이모코스(ICOMOS·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가 이미 ‘등재’를 권고한 상황이어서 등재가 확실시된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
日 세계유산, 결정문 주석에 ‘강제노동’ 반영 합의
입력 2015-06-26 2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