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를 미국 전역에 알리기 위해 로스앤젤레스(LA)에서 뉴욕까지 자전거 대륙 횡단에 나서고자 합니다.”
한국 대학생 2명이 25일(현지시간) 오전 10시 미국 캘리포니아 주 글렌데일 시에 있는 ‘평화의 소녀상’을 찾았다.
심용석(22·인천대 중어중국학과) 백덕열(22·경희대 체육학과)씨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를 널리 알기 위한 미국 대륙 자전거 횡단을 앞두고 글렌데일 소녀상을 찾아 각오를 다잡았다.
이틀 전 별세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김연희(83) 할머니도 기렸다.
이들이 도전하는 LA-뉴욕 대륙횡단은 6000㎞에 이르는 ‘대장정’이다. 6월27일부터 79일 간 자전거 페달로만 미국을 횡단한다.
도중 미국 시민들을 상대로 서명운동을 벌이고 일본대사관 등에서 집회도 열 예정이다.
이들은 자신들의 미국 횡단 계획을 ‘3A 프로젝트’라고 소개했다. 일본 정부가 위안부라는 이름으로 저지른 범죄를 인정(Admit)하고, 사과(Apologize)할 때까지 동행(Accompany) 하겠다는 의미다.
이들이 대륙횡단에 나선 것은 군복무를 ‘독도경비대’에서 했다는 경험이 가장 컸다.
제대 후 이들은 위안부 피해자인 이귀녀 할머니를 찾아뵙고 성남 ‘나눔의 집’을 방문했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이 매주 진행하는 수요집회에도 참석했다.
그러던 중 미 대륙횡단을 통해 미국 전역에 위안부 피해자 문제를 알리기로 뜻을 모았다.
심씨는 “우연히 위안부 할머니 얘기를 다룬 애니메이션 ‘소녀 이야기’를 보고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됐다”고 말했다.
이들은 지난 3월부터 미국 대륙횡단 계획을 차근차근 준비했다. 부모님과 교수님, 주변 사람들이 건강을 걱정했지만, 이들의 결심을 되돌리지는 못했다.
이들은 이번 자전거 횡단이 치기어린 민족주의로 치부되는 것을 우려했다. 백씨는 연합뉴스와 인터뷰에서 “우리는 일본 사람들을 존중하고 일본 문화를 좋아한다”면서 “일본 전체를 비난하기 위한 도전이 아니라 아직도 해결되지 않은 일본군 피해자 문제를 알리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의구 기자 egkim@kmib.co.kr
독도경비대 출신 한국 대학생 2명 미국 자전거횡단 나서 - "위안부 실상 알리겠다"
입력 2015-06-26 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