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유회사 SK인천석유화학 간부가 연루된 해운비리 사건을 수사 중인 경찰이 전담수사팀을 꾸려 전방위로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경찰은 해당 간부가 리베이트를 건네받은 것으로 추정되는 차명계좌를 확보하고 다음 주쯤 구속영장을 신청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25일 인천지방경찰청과 인천 계양경찰서에 따르면 경찰은 이 사건 수사를 위해 인천청 지능범죄수사대 인원을 충원해 전담수사팀을 꾸렸다.
전담수사팀에는 인천청 지수대 수사관 2명 외에도 계양서 지능범죄수사팀 수사관 7명과 같은 경찰서 수사과 수사관 1명 등 총 11명으로 꾸려졌다.
수사를 지휘하는 사건 팀장은 기존 계양서 지능팀장에서 계양서 수사과장으로 바뀌었다.
경찰은 해운 대리점 등 하청업체로부터 억대의 리베이트를 받아 챙긴 혐의(배임수재)를 받는 SK인천석유화학 선박 안전관리 담당 부서 부장 A씨(55)가 하청업체 대표 명의로 보유한 차명계좌 2개를 추가로 확보했다.
이 차명계좌를 통해 입·출금된 금액은 총 7억원 가량인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A씨는 지난주 경찰 조사에서 지난해 4월부터 지난달까지 선박 대리점을 비롯해 이 대리점과 계약을 맺고 예선, 도선사, 줄잡이 등을 공급하는 하청업체들로부터 매달 2000만원씩 총 2억6000만원을 받아 챙긴 혐의를 인정했다.
경찰은 A씨의 혐의 액수를 차명계좌 금액 7억원을 추가한 총 10억원 가량으로 보고 있다.
경찰은 다음 주쯤 A씨에 대해 구속영장을 신청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경찰은 또 일감을 받는 대가로 A씨에게 정기적으로 금품을 건넨 혐의(배임증재) 등으로 선박 대리점과 예인업체 등 하청업체 대표 3명을 추가로 불구속 입건했다.
이에 따라 현재까지 이번 사건으로 입건된 해운 하청업체 대표는 총 19명으로 늘었다.
SK인천석유화학은 인천 북항에 유조선이 드나들 수 있는 대규모 유류 전용 부두를 보유하고 있다.
A씨는 SK인천석유화학의 전신인 경인에너지 시절부터 25년 간 근무하며 돌핀항으로 불리는 이 부두에 드나드는 유조선을 관리·감독하고 해운 하청업체를 선정하는 업무를 했다.
경찰은 A씨에게 금품을 건넨 혐의를 받는 나머지 해운 하청업체 13곳의 대표들도 조만간 소환해 조사할 방침이다. 또 오랜 기간 A씨가 범행을 저지르는 동안 회사 고위 관계자들이 알면서도 묵인했는지와 항만 공무원에게 건네진 금품이 있었는지 등을 추후 조사할 방침이다.
이승헌 계양서 수사과장은 “이번 사건을 해안안전저해사범으로 규정보고 항만분야 관계기관까지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
경찰, SK인천석유화학 간부 수사 항만청까지 확대
입력 2015-06-25 13:04 수정 2015-06-25 16: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