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2TV ‘개그콘서트’의 시사 풍자 코너 ‘민상토론’이 정부 비판으로 방송통신심의위원회로부터 행정지도 조치를 받은 것에 대한 시청자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지나친 정부 눈치 보기 아니냐는 지적이다.
24일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서 ‘민상토론’에 제재 조치가 취해졌다는 소식이 알려지며 KBS 측의 해명 내용은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 시청자들은 다시 공분했다. 분노의 화살은 방통위와 거짓말을 한 KBS, 두 군데로 향했다.
시청자들은 “헐” “순간 과거로 돌아간 줄 알았다” “이 정도도 말 못하고 살면 독재국가 아니냐” “개그맨들의 성대모사를 참아낸 역대 대통령들에게 박수를” “KBS가 알아서 긴 건가” “수신료 내 놓으시죠” “‘민상토론’, 살려야 한다”는 등의 반응을 보였다. 일각에서는 박근혜 대통령의 측근이자 편향된 역사관으로 논란을 빚었던 박효종 방통위원장의 영향이 아니냐는 의혹도 나오고 있다.
반면 “아무리 정치풍자라도 선이 있고 도가 있는데 그걸 넘어서는 안 된다” “외압인지 내압인지 자성인지는 모르겠지만 폐지하는 게 맞을 것 같다” “자기들이 뭔데 수신료 받는 공영방송에서 내 투표권 행사해 뽑은 정부를 비판하냐”는 시청자도 있었다.
지난 14일 ‘민상토론’에서 개그맨 유민상·박영진·송준근 등은 보건복지부의 허술한 메르스 예방 지침을 꼬집었다. 또 “정부가 뒷북을 쳤다” “정부 대처가 빨랐더라면 일이 이렇게 커지지 않았을 것”이라며 높은 수위로 정부를 비판했다.
인터넷미디어협회는 지난 15일 “공영방송 KBS가 정치적으로 민감한 사안에 대해 일방의 주장 및 입장만을 찬양하는 방송을 했다는 것은 경악스러운 일”이라면서 해당 방송을 방통위에 신고했다.
‘민상토론’은 지난 21일 결방돼 외압설까지 불거졌다. KBS 측은 당시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외압설과 폐지설은 말도 안 된다”라며 “‘민상토론’의 완성도가 부족하다고 생각해서 결방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라효진 기자 surplus@kmib.co.kr
“민상토론을 살려야 한다, KBS는 수신료 뱉어내라”… 시청자 반발
입력 2015-06-25 11:32 수정 2015-06-25 1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