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미래부 ‘LTE 기반 재난통신 시스템, 단말개발’ 국책과제 연구성과 공개 시연

입력 2015-06-25 09:57
SK텔레콤, 미래부 ‘LTE 기반 재난통신 시스템, 단말개발’ 국책과제 연구성과 공개 시연. SK텔레콤 제공

SK텔레콤은 25일 제주도에서 개최된 한국통신학회 하계학술대회에서 ‘국가 공공안전서비스를 위한 LTE 기반 재난통신 시스템, 단말 개발’ 국책과제의 1차년도 주요 성과물을 시연했다고 밝혔다.

이번 국책과제는 국내 사업자 주도로 재난안전망의 핵심기술을 선제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미래창조과학부는 지난해 4월 한국철도기술연구원과 SK텔레콤, 사이버텔브릿지, 씨에스, 썬웨이브텍, 아이티엘 등이 참여한 컨소시엄을 선정하였으며, 2018년 2월까지 연구과제를 수행할 예정이다.

이번 행사에서 시연된 1차년도 주요 성과물은 ▲재난안전망 주파수(700MHz)를 지원하는 재난안전망 전용 단말기 ▲0.3초 이내의 발언권 전환과 500명 그룹통신이 가능한 OMA(Open Mobile Alliance) 표준기반의 PTT서비스 ▲일반 스마트폰에서 무전서비스 사용을 위한 전용 크래들 장치 개발 등이다.

현재 국민안전처에서 계획중인 국가재난안전망 구축사업에서도 전용 단말기 및 PTT서비스 등이 요구되고 있어, 이번 국책과제에서 개발된 기술은 올해 예정된 국가재난안전망 시범사업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함께 ▲단말간 직접통신(D2D) 기술 관련 특허, ▲eMBMS(LTE 기반 동시 동영상 전송) 기술 관련 특허, ▲ PTT기술 관련 특허 등 총 12건의 국내 특허도 출원하였다.

2차년도에는 재난망에 필수적인 그룹 통신을 위한 GCSE(Group Communication System Enabler) 기능, 단말간 직접통신 기술인 ProSe(Proximity-based Service)에 대한 선행기술 등을 개발할 예정이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