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피해자 김연희 할머니 별세…생존자 49명

입력 2015-06-25 08:01
사진=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공식 페이스북 화면 캡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김연희 할머니가 향년 83세로 별세했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는 김 할머니가 24일 밤 10시쯤 병환으로 별세했다고 공식 페이스북을 통해 25일 밝혔다.

정대협에 따르면 김 할머니는 1932년 대구에서 태어나 5살에 서울로 올라왔다. 김 할머니는 1944년 국민학교 5학년 재학 중에 일본인 교장에게 차출돼 일본으로 끌려갔다.

이후 일본 시모노세키를 거쳐 도야마현에 있는 항공기 부속 공장에서 9개월가량 일하다 아오모리현 위안소에 끌려가 약 7개월간 위안부로 생활했다.

김 할머니는 해방 이후 귀국했고, 위안소에 있을 당시 기억의 후유증으로 정신병원에서 치료까지 받았다고 정대협은 전했다. 이후 결혼도 못하고 평생을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김 할버니가 사망하면서 정부에 등록된 군 위안부 피해자 238명 가운데 생존자는 49명으로 줄었다.



<다음은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공식 페이스북 전문>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김연희 할머니께서 6월 24일 밤 10시경 운명하셨습니다.

김연희 할머니 증언에 의하면 할머니는 1932년에 대구에서 태어나셨고 5살 때 서울로 이사를 가셨습니다. 그리고 서울의 한 국민학교 5학년에 재학 중이던 44년 일본인 교장에 의해 차출되어 일본으로 끌려가셨습니다. 학교에서 2~3명씩 차출되었는데 아버지께서 중국으로 피신하였다는 것이 불리하게 작용한 탓이었습니다. 할머니는 그렇게 끌려가셔서 일본의 시모노세키를 거쳐 도야마겡의 한 비행기 부속 공장에서 약 9개월 동안 일하시다가 아오모리겡 위안소에 끌려가 약 7개월 동안 위안부 생활을 하셨습니다.

해방이 되면서 배를 타고 겨우 서울로 돌아오셨고 위안소에 있던 기억의 후유증으로 정신병원에서 치료도 받았습니다. 이후 할머니는 가정부로 일하며 결혼도 하지 않고 사셨습니다.

김연희 할머니가 돌아가시면서 일본군‘위안부’ 생존자 수는 이제 49분입니다. 6월에만 벌써 세 분이 하늘로 가셨습니다. 정말로 시간이 없다 재촉하시는 것 같습니다. 하루빨리 할머니들이 고통을 덜어놓고 여생을 편히 사실 수 있도록 일본군‘위안부’ 문제 해결에 더욱 큰 관심과 연대를 바랍니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