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이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가 이례적으로 빠르게 확산한 이유로 국내 병원문화를 들었다.
문 장관은 23일 오후 국회 대정문질문에 참석한 문 장관은 "국내 발생 메르스 환자가 전세계에서 두번째로 많은 이유가 무엇이냐"는 남인순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의 질문에 이 같이 답했다.
그는 "한국에서 예외적으로 메르스가 크게 확산된 것은 국내 병원 문화가 원인"이라며 "병원 쇼핑 문화, 밀집한 응급실 운영, 병문안, 간병문화 등으로 병원 내 확산을 통제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또 "메르스에 대한 정보가 부족했고, 감염병 전문인력 확보 미흡도 확산의 원인이 됐다"고 설명했다.
이에 남 의원은 "정부가 준수했다고 하는 WHO(세계보건기구) 의사소통 가이드라인 원칙에는 신뢰관계 구축, 신속한 발표, 투명한 정보공개 등이 있지만 정부는 이를 따르지 않았다"며 "초기 병원 공개를 하지 않도록 한 것은 누구의 결정이냐"고 질의했다.
문 장관은 "병원 상황 등에 따라 공개 등에 대한 판단이 다를 수 있다. 의료계, 병원, 전문가들의 분석을 통해 상황에 맞춰서 판단했다"며 즉답을 피했다. 이에 남 의원이 최종결정을 내린 사람이 누구냐"고 재차 묻자 "제가"라며 병원 비공개 결정을 자신이 내렸다고 답했다.
남 의원은 또 "평택성모병원이 병원 코호트 격리를 요구했지만 정부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아 입원 환자들이 강제퇴원하면서 확산을 막지못했다"며 "지난달 20일에도 질병관리본부의 전문가 자문회의에서 병동폐쇄 및 진료중단, 격리조치 강화 등이 거론됐지만 정부가 수용 불가 입장을 밝혔다"고 비판했다.
이와 관련해 문 장관은 "평택성모병원의 코호트 격리는 의료진이 대부분 격리상태여서 여건이 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내가 메르스 병원 비공개 결정했다” 문형표 “국내 병원 문화가 문제”
입력 2015-06-23 15: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