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산에서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북방계 고산식물 2종이 발견됐다.
23일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에 따르면 이번에 한라산에서 분포가 확인된 고산식물은 장미과에 속하는 높이 1.5m 정도의 작은키나무인 생열귀나무(학명 로사 다부리카·Rosa davurica Pallas)와 백합과의 다년초인 은방울꽃(학명 콘발라리아 케이스케이·Convallaria keiskei Miquel)이다.
생열귀나무는 한라산 구상나무숲에서 5개체가 발견됐다.
생열귀나무는 우리나라에서는 강원도 이북의 고산준령을 따라 분포하며 세계적으로는 중국 동북지방, 몽골, 시베리아, 일본 북부지방에 분포한다. 주 분포지가 시베리아의 아무르강이어서 아무르 장미라고도 불린다. 꽃은 지름 3∼4㎝로 대개 붉은색으로 피지만 간혹 흰색인 것도 있으며, 1∼3개가 가지 끝에 달린다.
꽃자루는 5∼8㎜ 정도인데 털이 없이 매끈하거나 꿀을 분비하는 털이 있다. 꽃잎은 5장이며 암술은 수술보다 짧고 털이 있다. 잎은 길이 4∼10㎝인데 잎의 아랫부분에 한 쌍의 가시가 달리는 게 특징이다. 열매는 길이 1∼1.5㎝ 정도며 공모양에서 달걀모양까지 다양하다.
은방울꽃은 한라산 해발 1600m 관목림 약 5000㎡에 분포하고 있음이 확인됐다.
은방울꽃은 중국 북부, 동시베리아, 사할린을 포함한 유라시아 대륙과 북미대륙에도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한라산에서는 처음 확인됐다.
식물체가 매우 아름다워 ‘계곡의 백합’으로도 불린다. 잎자루는 8∼20㎝, 잎몸은 타원형에서 창날모양으로 다양하다. 꽃줄기는 30㎝까지도 자라는데 활처럼 휘며, 10개 안팎의 흰색 꽃이 달린다. 열매는 지름 1㎝ 내외며 붉은색으로 익는다.
연구소 관계자는 “한라산 정상 일대에 분포한 여러 북방계 고산식물과 마찬가지로 빙하기에 남진해 번성했다가 지금까지 생존한 빙하기 유존종의 일부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제주=주미령 기자 lalijoo@kmib.co.kr
한라산서 희귀 북방계 고산식물 2종 발견
입력 2015-06-23 14: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