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회자칼럼] 기독교인이 본 '할랄' 무엇이 문제인가

입력 2015-06-23 13:14

17억 인구와 연간 710조를 예상하는 이슬람 먹거리 시장을 앞에 두고 지금 우리 정부와 관련 산업들은 ‘할랄’(무슬림이 먹고 쓸 수 있는 제품)광풍을 겪고 있는 듯하다. 단순히 식품과 생활용품의 수출을 증대하고 무슬림을 대상으로 하는 관광산업을 일으킬 수 있다는 장점 외에 예견되는 문제도 숙고해야 한다.

이슬람은 그 태동기의 역사를 보아서도 알 수 있듯이 유대교와 기독교 그리고 아랍의 전통신앙에 뿌리를 두고 있다. 또한 이슬람은 신앙의 체계임과 동시에 무엇을 먹고 어떻게 입고 어떤 일이 허용되며 어떤 것이 금지되는지를 지배하는 삶의 양식이다. ‘할랄’은 식품 전문용어가 아니라 이슬람 종교의 언어로 ‘(법이) 허용하는’의 뜻이며 반의어는 ‘하람’이다.

이슬람의 학파마다 또 나라마다 기준이 서로 다르다. 대체적으로 일치하는 점은 돼지고기와 알콜 성분이 들어가지 않은 것, 성인 무슬림에 의해 샤리아(이슬람법)에 따라 도축된 것 즉, 짐승의 머리를 메카로 향하고 ‘비스밀라’(알라의 이름으로)라는 주문을 외우 후 단번에 정맥을 자른 후, 그 짐승을 거꾸로 걸어 피를 뺀 것 등으로 이슬람 법과 전통의 산물이지 다른 식품에 비해 더 위생적이라거나 건강에 좋을 것이라는 개념은 상인들이 만들어 낸 것이다.

한국에서는 이슬람중앙회(KMF)에서 인증을 발행하고 있는데 큰 수출 시장을 이루고 있는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에서는 그 기준이 한국과 달라 인증을 다시 받아야 하기도 한다. 또한 인증도 꾸란(이슬람의 경전)의 상충되는 구절들을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자주 변할 수 있는 것이다.

최근 대통령의 중동 방문 이후 할랄 산업을 전략적으로 육성하겠다는 발표에 따라 전 세계 17억 인구의 이슬람 시장을 향한 장미빛 조망들이 일어나고 할랄 인증을 위한 정부의 지원과 기업들의 노력, 조합까지 생겨 붐을 이루고 있지만 실제에 있어서는 원리주의 무슬림을 제외한 대다수의 무슬림들은 ‘할랄’을 문자적으로 지키지 않는 추세이다.

실제로 영국의 경우는 학교나 회사의 조리실에서 웃지 못 할 일이 일어난다. 할랄 식품은 유통, 보관, 조리의 단계에서도 다른 식품(하람)과 접촉할 수 없기 때문에 다수의 사람들이 소수의 무슬림을 위해 할랄 음식만을 먹을 수밖에 없게 되고 점진적으로 삶의 양식을 이슬람화 하게 되는 것이다.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취업의 기회가 넓게 열릴 것 같지만 무슬림 생산인력과 감독자들과 대규모 유입을 막기 어려울 것이다. 또한 한 도시나 지역을 클러스터화 할 경우에 영국 독일 프랑스 등 서구의 예에서 보듯이 지역이 무슬림 인구의 밀집으로 슬럼화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우리 정부와 산업계는 할랄을 통해 수출의 길을 열려하는 반면 이슬람의 다이(포교사)들은 할랄을 매개로 이슬람화 하려 한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경각심을 가지고 비지니스에 임해야 한다.

첫째 무슬림 인구의 급속한 유입을 막고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협상을 통해 할랄 인증에 필요한 무슬림 근로자의 수를 최소화하고 비자발행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두 번째로 식품 혹은 생활용품의 영역을 넘어서는 종교 문화 부분의 부당한 요구에 대해 대안을 세워야 한다.

백광현 목사(대전성시화운동본부 이단대책위 이슬람 전문위원)